대전서 위헌 결정 규탄 집회 열려
입력 2004.10.28 (22:06)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충청지역에서는 위헌 결정을 규탄하고 신행정수도를 지키려는 집회의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오늘 대전에서는 헌재 결정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집회가 열렸습니다.
서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이 중단된 데에 따른 충청인들의 실망이 분노로 폭발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수도권을 위해 충청도를 능멸한 것이라며 5000여 주민들은 헌재와 정치권을 한목소리로 성토했습니다.
⊙이상선(공동집행위원장/비상시국회의): 헌재의 오만의 극치가 한 나라의 체제와 법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유린하였습니다.
⊙기자: 충청권 300여 시민단체가 공동 주최한 이 집회에서 참석자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의 중단없는 추진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김용분(대전여성환경포럼 대표): 과학기술 행정도시는 충청도의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여론 무마용 임시방편용에 불과합니다.
⊙기자: 충청권 시도 의원들은 삭발로, 시민운동가들은 혈서로 그리고 주민들은 관습헌법에 대한 화형식으로 성난 민심을 표출했습니다.
이 집회에 이어 주최측은 다음 주에는 서울에서 대규모 상경 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정부와 정치권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사이 충청권의 반발 여론은 점점 격화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오늘 대전에서는 헌재 결정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집회가 열렸습니다.
서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이 중단된 데에 따른 충청인들의 실망이 분노로 폭발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수도권을 위해 충청도를 능멸한 것이라며 5000여 주민들은 헌재와 정치권을 한목소리로 성토했습니다.
⊙이상선(공동집행위원장/비상시국회의): 헌재의 오만의 극치가 한 나라의 체제와 법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유린하였습니다.
⊙기자: 충청권 300여 시민단체가 공동 주최한 이 집회에서 참석자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의 중단없는 추진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김용분(대전여성환경포럼 대표): 과학기술 행정도시는 충청도의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여론 무마용 임시방편용에 불과합니다.
⊙기자: 충청권 시도 의원들은 삭발로, 시민운동가들은 혈서로 그리고 주민들은 관습헌법에 대한 화형식으로 성난 민심을 표출했습니다.
이 집회에 이어 주최측은 다음 주에는 서울에서 대규모 상경 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정부와 정치권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사이 충청권의 반발 여론은 점점 격화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전서 위헌 결정 규탄 집회 열려
-
- 입력 2004-10-28 21:04:2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충청지역에서는 위헌 결정을 규탄하고 신행정수도를 지키려는 집회의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오늘 대전에서는 헌재 결정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집회가 열렸습니다.
서영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이 중단된 데에 따른 충청인들의 실망이 분노로 폭발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수도권을 위해 충청도를 능멸한 것이라며 5000여 주민들은 헌재와 정치권을 한목소리로 성토했습니다.
⊙이상선(공동집행위원장/비상시국회의): 헌재의 오만의 극치가 한 나라의 체제와 법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유린하였습니다.
⊙기자: 충청권 300여 시민단체가 공동 주최한 이 집회에서 참석자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의 중단없는 추진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김용분(대전여성환경포럼 대표): 과학기술 행정도시는 충청도의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기 위한 여론 무마용 임시방편용에 불과합니다.
⊙기자: 충청권 시도 의원들은 삭발로, 시민운동가들은 혈서로 그리고 주민들은 관습헌법에 대한 화형식으로 성난 민심을 표출했습니다.
이 집회에 이어 주최측은 다음 주에는 서울에서 대규모 상경 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정부와 정치권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사이 충청권의 반발 여론은 점점 격화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서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