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지역 대결 아닌 균형 발전 틀로 봐야”
입력 2004.10.28 (22:06)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무현 대통령이 헌재 위헌 결정에 어긋나지 않게 국가 균형발전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대다수 행정부처가 옮겨가는 이른바 행정도시로 가닥을 잡아가는 분위기입니다.
송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한 위헌 결정 뒤 대책논의 차원에서 전국의 시도지사들이 모인 자리.
노무현 대통령은 행정수도 이전과 균형발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모두 맞물려 있는 과제라고 지적하며 균형발전을 위한 대안 마련을 당부했습니다.
⊙노무현(대통령): 국가 균형발전 전체의 틀로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지 어느 지역의 이해관계로 이렇게 바라봐서는 문제를 제대로 풀어나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노 대통령은 특히 청와대와 국회 등 정치 행정의 중추기능을 하는 곳으로 수도의 개념을 정한 헌재의 해석이 수도의 개념을 좁게 규정해 균형발전 정책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이해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헌재의 수도개념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당수의 중앙부처를 옮기는 이른바 행정도시가 대안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노무현(대통령): 수도는 안 되니 행정도시로 하라.
그러면 행정도시로 하게 되면 규모를 얼마만큼 할 것이며...
⊙기자: 그러나 손학규 경기지사는 변형된 이전논의 중단을, 이명박 서울시장은 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는 분리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따로 면담신청을 한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을 그대로 실행할 것을 요구해 대안 마련도 난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송현정입니다.
대다수 행정부처가 옮겨가는 이른바 행정도시로 가닥을 잡아가는 분위기입니다.
송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한 위헌 결정 뒤 대책논의 차원에서 전국의 시도지사들이 모인 자리.
노무현 대통령은 행정수도 이전과 균형발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모두 맞물려 있는 과제라고 지적하며 균형발전을 위한 대안 마련을 당부했습니다.
⊙노무현(대통령): 국가 균형발전 전체의 틀로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지 어느 지역의 이해관계로 이렇게 바라봐서는 문제를 제대로 풀어나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노 대통령은 특히 청와대와 국회 등 정치 행정의 중추기능을 하는 곳으로 수도의 개념을 정한 헌재의 해석이 수도의 개념을 좁게 규정해 균형발전 정책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이해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헌재의 수도개념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당수의 중앙부처를 옮기는 이른바 행정도시가 대안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노무현(대통령): 수도는 안 되니 행정도시로 하라.
그러면 행정도시로 하게 되면 규모를 얼마만큼 할 것이며...
⊙기자: 그러나 손학규 경기지사는 변형된 이전논의 중단을, 이명박 서울시장은 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는 분리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따로 면담신청을 한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을 그대로 실행할 것을 요구해 대안 마련도 난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송현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盧, “지역 대결 아닌 균형 발전 틀로 봐야”
-
- 입력 2004-10-28 21:03:4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노무현 대통령이 헌재 위헌 결정에 어긋나지 않게 국가 균형발전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대다수 행정부처가 옮겨가는 이른바 행정도시로 가닥을 잡아가는 분위기입니다.
송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한 위헌 결정 뒤 대책논의 차원에서 전국의 시도지사들이 모인 자리.
노무현 대통령은 행정수도 이전과 균형발전, 공공기관 지방이전, 모두 맞물려 있는 과제라고 지적하며 균형발전을 위한 대안 마련을 당부했습니다.
⊙노무현(대통령): 국가 균형발전 전체의 틀로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지 어느 지역의 이해관계로 이렇게 바라봐서는 문제를 제대로 풀어나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노 대통령은 특히 청와대와 국회 등 정치 행정의 중추기능을 하는 곳으로 수도의 개념을 정한 헌재의 해석이 수도의 개념을 좁게 규정해 균형발전 정책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이해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헌재의 수도개념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당수의 중앙부처를 옮기는 이른바 행정도시가 대안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노무현(대통령): 수도는 안 되니 행정도시로 하라.
그러면 행정도시로 하게 되면 규모를 얼마만큼 할 것이며...
⊙기자: 그러나 손학규 경기지사는 변형된 이전논의 중단을, 이명박 서울시장은 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는 분리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따로 면담신청을 한 충청권 광역단체장들은 신행정수도 건설을 그대로 실행할 것을 요구해 대안 마련도 난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송현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