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학교 비리’…감사는 뒷북
입력 2005.01.21 (22:0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검사 아들의 답안지 대필사건에 이어서 이번에는 또 중학교에서 교사가 답안지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렇게 학교 비리의혹이 잇따르고 있지만 진상을 밝혀야 할 교육청은 뒷북치기에 급급합니다.
이해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
지난해 2학기 중간고사에서 한 교사가 3학년 학생의 답안지를 조작했다며 동료 교사들이 학교측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학교측은 문제가 있는 교사는 원칙대로 징계 등 조치를 약속했지만 교육청에는 석 달이 될 때까지 보고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어떻게 처리됐죠?
⊙인터뷰: 나중에 정식 절차 밟아야 할 거예요.
⊙기자: 또 다른 사립고등학교에서는 편입학을 대가로 학부모로부터 최고 1억원을 받았다는 등 입학부정 의혹이 터져나왔습니다.
⊙교장: 그걸 받았을 거라는 추측이지 실제로는 그런 게 없습니다.
⊙기자: 잇단 의혹을 밝힌 것은 교육청의 몫이지만 현재 감사는 미지근하기만 합니다.
검사자녀 답안지 대리작성의 경우 학부모와의 관계와 대가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핵심이지만 해당 교사의 진술에만 의존한 채 학부모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검사가 연루된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까?
⊙이병포(서울시교육청 검사담당관/어제): 그것은 저희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또 비리 제보 접수 후 일주일 만에 조사에 나서는 등 늑장대응도 문제였습니다.
⊙김학윤(함께하는 교육시민모임): 사회적 환부는 철저히 진상조사를 해서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자: 잇단 교육현장의 의혹에 대해 감독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청의 철저한 의지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뉴스 이해연입니다.
이렇게 학교 비리의혹이 잇따르고 있지만 진상을 밝혀야 할 교육청은 뒷북치기에 급급합니다.
이해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
지난해 2학기 중간고사에서 한 교사가 3학년 학생의 답안지를 조작했다며 동료 교사들이 학교측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학교측은 문제가 있는 교사는 원칙대로 징계 등 조치를 약속했지만 교육청에는 석 달이 될 때까지 보고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어떻게 처리됐죠?
⊙인터뷰: 나중에 정식 절차 밟아야 할 거예요.
⊙기자: 또 다른 사립고등학교에서는 편입학을 대가로 학부모로부터 최고 1억원을 받았다는 등 입학부정 의혹이 터져나왔습니다.
⊙교장: 그걸 받았을 거라는 추측이지 실제로는 그런 게 없습니다.
⊙기자: 잇단 의혹을 밝힌 것은 교육청의 몫이지만 현재 감사는 미지근하기만 합니다.
검사자녀 답안지 대리작성의 경우 학부모와의 관계와 대가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핵심이지만 해당 교사의 진술에만 의존한 채 학부모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검사가 연루된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까?
⊙이병포(서울시교육청 검사담당관/어제): 그것은 저희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또 비리 제보 접수 후 일주일 만에 조사에 나서는 등 늑장대응도 문제였습니다.
⊙김학윤(함께하는 교육시민모임): 사회적 환부는 철저히 진상조사를 해서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자: 잇단 교육현장의 의혹에 대해 감독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청의 철저한 의지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뉴스 이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잇단 ‘학교 비리’…감사는 뒷북
-
- 입력 2005-01-21 21:25:46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검사 아들의 답안지 대필사건에 이어서 이번에는 또 중학교에서 교사가 답안지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이렇게 학교 비리의혹이 잇따르고 있지만 진상을 밝혀야 할 교육청은 뒷북치기에 급급합니다.
이해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
지난해 2학기 중간고사에서 한 교사가 3학년 학생의 답안지를 조작했다며 동료 교사들이 학교측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학교측은 문제가 있는 교사는 원칙대로 징계 등 조치를 약속했지만 교육청에는 석 달이 될 때까지 보고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어떻게 처리됐죠?
⊙인터뷰: 나중에 정식 절차 밟아야 할 거예요.
⊙기자: 또 다른 사립고등학교에서는 편입학을 대가로 학부모로부터 최고 1억원을 받았다는 등 입학부정 의혹이 터져나왔습니다.
⊙교장: 그걸 받았을 거라는 추측이지 실제로는 그런 게 없습니다.
⊙기자: 잇단 의혹을 밝힌 것은 교육청의 몫이지만 현재 감사는 미지근하기만 합니다.
검사자녀 답안지 대리작성의 경우 학부모와의 관계와 대가성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핵심이지만 해당 교사의 진술에만 의존한 채 학부모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검사가 연루된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까?
⊙이병포(서울시교육청 검사담당관/어제): 그것은 저희가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기자: 또 비리 제보 접수 후 일주일 만에 조사에 나서는 등 늑장대응도 문제였습니다.
⊙김학윤(함께하는 교육시민모임): 사회적 환부는 철저히 진상조사를 해서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자: 잇단 교육현장의 의혹에 대해 감독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청의 철저한 의지가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뉴스 이해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