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도 계속...논란도 계속

입력 2005.02.04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 선고는 어디까지나 1심판결이어서 정부와 환경단체간 싸움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이 분명합니다.
결국 대법원에 가서야 판가름날 것으로 보입니다.
박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법원의 판결 직후 농림부는 예정되어 있던 기자회견까지 취소하고 대응방안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우선 1심 판결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안을 수정하는 방안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계획안에 환경단체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 제2의 소송으로 비화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정면돌파.
1심 판결에 항소한 채 사업을 강행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환경단체와의 갈등은 항소심에서 제2라운드를 맞게 됩니다.
전라북도 역시 정부에 항소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계수(전라북도 부지사): 긴급하게 저희들이 앞으로 항소 등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하고 정부에 강력하게 요청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기자: 환경단체는 환경단체대로 방조제 공사에 대한 집행정지나 중지 가처분신청을 낼 수 있다고 밝혀 소송은 더욱 복잡해질 수도 있습니다.
⊙박진섭(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보강공사가 아닌 본공사를 진행하려고 한다면 공사중지가처분신청을 또 내서 법정 다툼을 할 예정입니다.
⊙기자: 향후 정부가 어떤 방안을 내놓더라도 합의점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어서 지리한 법적공방이 계속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아 보입니다.
KBS뉴스 박주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사도 계속...논란도 계속
    • 입력 2005-02-04 21:00:51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오늘 선고는 어디까지나 1심판결이어서 정부와 환경단체간 싸움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이 분명합니다. 결국 대법원에 가서야 판가름날 것으로 보입니다. 박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법원의 판결 직후 농림부는 예정되어 있던 기자회견까지 취소하고 대응방안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우선 1심 판결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안을 수정하는 방안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계획안에 환경단체가 동의하지 않을 경우 제2의 소송으로 비화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방법은 정면돌파. 1심 판결에 항소한 채 사업을 강행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환경단체와의 갈등은 항소심에서 제2라운드를 맞게 됩니다. 전라북도 역시 정부에 항소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한계수(전라북도 부지사): 긴급하게 저희들이 앞으로 항소 등 여러 가지 대책을 검토하고 정부에 강력하게 요청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기자: 환경단체는 환경단체대로 방조제 공사에 대한 집행정지나 중지 가처분신청을 낼 수 있다고 밝혀 소송은 더욱 복잡해질 수도 있습니다. ⊙박진섭(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보강공사가 아닌 본공사를 진행하려고 한다면 공사중지가처분신청을 또 내서 법정 다툼을 할 예정입니다. ⊙기자: 향후 정부가 어떤 방안을 내놓더라도 합의점을 찾기는 어려운 상황이어서 지리한 법적공방이 계속될 가능성은 여전히 높아 보입니다. KBS뉴스 박주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