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소금 섭취 조심

입력 2005.02.05 (21:2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설 명절 음식 만들고 또 드실 때 챙겨야 할 건강정보 하나 전해 드립니다.
바로 소금 문제입니다.
최재현 기자의 보도 잘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기자: 직장인들의 점심시간, 짠 음식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소금을 치게 됩니다.
⊙송미라(서울시 오금동): 저희 엄마가 항상 음식을 싱겁게 해 주세요.
그래서 처음에는 좀 적응이 안 돼서 혼자 몰래 소금도 타 먹고 그랬는데요...
⊙기자: 미 FDA가 권장하는 하루치 소금은 6g 이하, 그러나 짜게 먹는 한국인은 많게는 하루 25g을 섭취합니다.
음식에 든 소금의 양도 겉보기와는 다릅니다.
쌀밥 한 공기만 먹어도 0.04g 정도의 소금 성분을 섭취하는 셈입니다.
비빔냉면보다는 물냉면에, 자장면보다는 탕수육에 소금이 더 많고 컵라면 하나에만 하루 기준치가 넘는 소금이 담겨 있습니다.
한국인의 소금 섭취가 많은 건 국물을 많이 먹기 때문인데 과식하는 명절 때는 평소의 2배 가까이 늘게 됩니다.
⊙조미란(경희의료원 임상영양사): 국이나 탕에는 생각보다 소금의 함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특히 음식을 많이 드시는 명절 때 국이나 탕을 만드실 때 소금함량을 줄이신다면 훨씬 바람직하겠습니다.
⊙기자: 소금은 한국인에게 많은 뇌혈관질환과 위암 등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뜨거우면 짠맛을 느끼는 정도가 덜하기 때문에 식은 다음에 간을 맞추고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소금 성분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채소 등을 충분히 먹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합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설 명절 소금 섭취 조심
    • 입력 2005-02-05 21:08:5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번에는 설 명절 음식 만들고 또 드실 때 챙겨야 할 건강정보 하나 전해 드립니다. 바로 소금 문제입니다. 최재현 기자의 보도 잘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기자: 직장인들의 점심시간, 짠 음식은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습관적으로 소금을 치게 됩니다. ⊙송미라(서울시 오금동): 저희 엄마가 항상 음식을 싱겁게 해 주세요. 그래서 처음에는 좀 적응이 안 돼서 혼자 몰래 소금도 타 먹고 그랬는데요... ⊙기자: 미 FDA가 권장하는 하루치 소금은 6g 이하, 그러나 짜게 먹는 한국인은 많게는 하루 25g을 섭취합니다. 음식에 든 소금의 양도 겉보기와는 다릅니다. 쌀밥 한 공기만 먹어도 0.04g 정도의 소금 성분을 섭취하는 셈입니다. 비빔냉면보다는 물냉면에, 자장면보다는 탕수육에 소금이 더 많고 컵라면 하나에만 하루 기준치가 넘는 소금이 담겨 있습니다. 한국인의 소금 섭취가 많은 건 국물을 많이 먹기 때문인데 과식하는 명절 때는 평소의 2배 가까이 늘게 됩니다. ⊙조미란(경희의료원 임상영양사): 국이나 탕에는 생각보다 소금의 함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특히 음식을 많이 드시는 명절 때 국이나 탕을 만드실 때 소금함량을 줄이신다면 훨씬 바람직하겠습니다. ⊙기자: 소금은 한국인에게 많은 뇌혈관질환과 위암 등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뜨거우면 짠맛을 느끼는 정도가 덜하기 때문에 식은 다음에 간을 맞추고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고 소금 성분을 배출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채소 등을 충분히 먹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합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