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기획]새 가족 문화/①우린 행복한 견우직녀

입력 2005.02.08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가족은 어떤 모습입니까?
따로 떨어져 살거나 함께 같이 살거나, 가족의 모습은 달라도 그 소중함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설을 맞아서 새로운 가족풍속도를 이해연, 김성모, 선재희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뉴스9 설 기획] 새 가족 문화
[1편] 우린 행복한 견우직녀 ............................... 이해연 기자 / 2월 8일 방송
[2편] 자식 안모셔도 우리끼리 OK ....................... 김성모 기자 / 2월 8일 방송
[3편] 모여 사니 좋은데요 .................................. 선재희 기자 / 2월 8일 방송


⊙기자: 서울의 한 출판사 직원인 정미란 씨.
평소 농촌생활을 동경했던 남편은 3년 전부터 여주에서 원예교사로 봉직하고 있습니다.
매주 수요일에만 만나지만 부부사이는 여전히 돈독합니다.
⊙정미란(출판사 편집부장): 이야기 통로가 어떻게 뚫려 있냐의 문제지 그게 어떤 거리상의 문제는 아니다...
⊙오석재(여주 자영농업고 교사): 자기가 힘들다고 그러면 계속 힘든 거고 또 할 수 있고 또 보람이라 생각하면서 하면 그걸 다 견디고 극복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기자: 대학 교수인 정미경 씨는 강원도 삼척에 혼자 나와 있고 남편과 세 자녀는 멀리 광주에 삽니다.
⊙김덕건(남편): 애들 건강하게 잘 있으니까 신경쓰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해...
47#⊙기자: 열심히 살고 있는 부모만큼 세 자녀도 모두가 밤잠을 맡으며 열심히 삽니다.
⊙정미경(삼척대 교수): 요즘에는 남편들 시각도 많이 바뀌었어요.
그래서 아내가 사회에 나가서 자기 일 열심히 하고 그 역할들을 해내고 인정받고 하는 것들에 대해서 좋아하고...
⊙기자: 직업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 부부 가운데 어느 한쪽이 대학에 다시 진학해 자발적인 주말 부부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가족일수록 서로가 자신이 할 일을 스스로 찾으며 새로운 가족애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설 기획]새 가족 문화/①우린 행복한 견우직녀
    • 입력 2005-02-08 21:16:2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사회가 급변하면서 가족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가족은 어떤 모습입니까? 따로 떨어져 살거나 함께 같이 살거나, 가족의 모습은 달라도 그 소중함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설을 맞아서 새로운 가족풍속도를 이해연, 김성모, 선재희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뉴스9 설 기획] 새 가족 문화
[1편] 우린 행복한 견우직녀 ............................... 이해연 기자 / 2월 8일 방송
[2편] 자식 안모셔도 우리끼리 OK ....................... 김성모 기자 / 2월 8일 방송
[3편] 모여 사니 좋은데요 .................................. 선재희 기자 / 2월 8일 방송
⊙기자: 서울의 한 출판사 직원인 정미란 씨. 평소 농촌생활을 동경했던 남편은 3년 전부터 여주에서 원예교사로 봉직하고 있습니다. 매주 수요일에만 만나지만 부부사이는 여전히 돈독합니다. ⊙정미란(출판사 편집부장): 이야기 통로가 어떻게 뚫려 있냐의 문제지 그게 어떤 거리상의 문제는 아니다... ⊙오석재(여주 자영농업고 교사): 자기가 힘들다고 그러면 계속 힘든 거고 또 할 수 있고 또 보람이라 생각하면서 하면 그걸 다 견디고 극복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기자: 대학 교수인 정미경 씨는 강원도 삼척에 혼자 나와 있고 남편과 세 자녀는 멀리 광주에 삽니다. ⊙김덕건(남편): 애들 건강하게 잘 있으니까 신경쓰지 말고 공부나 열심히 해... 47#⊙기자: 열심히 살고 있는 부모만큼 세 자녀도 모두가 밤잠을 맡으며 열심히 삽니다. ⊙정미경(삼척대 교수): 요즘에는 남편들 시각도 많이 바뀌었어요. 그래서 아내가 사회에 나가서 자기 일 열심히 하고 그 역할들을 해내고 인정받고 하는 것들에 대해서 좋아하고... ⊙기자: 직업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 부부 가운데 어느 한쪽이 대학에 다시 진학해 자발적인 주말 부부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가족일수록 서로가 자신이 할 일을 스스로 찾으며 새로운 가족애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해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