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 암 치료 가능하다
입력 2005.02.10 (22:0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죽을 병으로 인식되어 온 암이 신약과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100% 정복의 날을 고대하는 의학계의 노력을 집중취재했습니다.
먼저 최신 국내의학계 동향을 최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년 전 암 수술을 받은 장은희 씨.
지금은 노래강사와 사회봉사활동으로 이전보다 더 열정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장은희(유방암 치유): 절대 죽는 병은 아니에요.
저 보세요.
⊙기자: 의료기술과 신약의 발전 속에서 암을 극복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서울대 암연구소가 개발중인 항암제 신약의 실험사진입니다.
보통의 암세포는 빠르게 증식하지만 신약을 투여하자 증식이 중단되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없이 암세포는 죽고 맙니다.
⊙방영주(서울대 의대 암연구 소장):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살상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 각광을 받고 있고요.
⊙기자: 세계 최초로 3세대 항암제를 선보인 이 회사도 내후년 상용화를 목표로 암세포 전이를 막는 신약을 개발중입니다.
⊙유병환(SK제약 전략기획실장): 우리 천연물에 유래한 약이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극히 높다고 저희들은 보고 있습니다.
⊙기자: 또 암치료 기술에 있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이 빠른 나라에 속합니다.
⊙노재형(삼성서울병원 외과 교수): 미국에 있는 환자분들이 오히려 한국에 와서 수술을 받으려고 하시는 그런 경우도 많고요.
⊙권선자(위암 치유 4년차): 암이 골리앗인 것은 사실이지만 의사 선생님이나 병원간, 환자와 가족이 다 의지된다면 암은 충분히 이길 수 있어요.
⊙기자: 암 정복의 날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100% 정복의 날을 고대하는 의학계의 노력을 집중취재했습니다.
먼저 최신 국내의학계 동향을 최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년 전 암 수술을 받은 장은희 씨.
지금은 노래강사와 사회봉사활동으로 이전보다 더 열정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장은희(유방암 치유): 절대 죽는 병은 아니에요.
저 보세요.
⊙기자: 의료기술과 신약의 발전 속에서 암을 극복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서울대 암연구소가 개발중인 항암제 신약의 실험사진입니다.
보통의 암세포는 빠르게 증식하지만 신약을 투여하자 증식이 중단되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없이 암세포는 죽고 맙니다.
⊙방영주(서울대 의대 암연구 소장):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살상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 각광을 받고 있고요.
⊙기자: 세계 최초로 3세대 항암제를 선보인 이 회사도 내후년 상용화를 목표로 암세포 전이를 막는 신약을 개발중입니다.
⊙유병환(SK제약 전략기획실장): 우리 천연물에 유래한 약이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극히 높다고 저희들은 보고 있습니다.
⊙기자: 또 암치료 기술에 있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이 빠른 나라에 속합니다.
⊙노재형(삼성서울병원 외과 교수): 미국에 있는 환자분들이 오히려 한국에 와서 수술을 받으려고 하시는 그런 경우도 많고요.
⊙권선자(위암 치유 4년차): 암이 골리앗인 것은 사실이지만 의사 선생님이나 병원간, 환자와 가족이 다 의지된다면 암은 충분히 이길 수 있어요.
⊙기자: 암 정복의 날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 암 치료 가능하다
-
- 입력 2005-02-10 21:27:5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죽을 병으로 인식되어 온 암이 신약과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100% 정복의 날을 고대하는 의학계의 노력을 집중취재했습니다.
먼저 최신 국내의학계 동향을 최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년 전 암 수술을 받은 장은희 씨.
지금은 노래강사와 사회봉사활동으로 이전보다 더 열정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장은희(유방암 치유): 절대 죽는 병은 아니에요.
저 보세요.
⊙기자: 의료기술과 신약의 발전 속에서 암을 극복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서울대 암연구소가 개발중인 항암제 신약의 실험사진입니다.
보통의 암세포는 빠르게 증식하지만 신약을 투여하자 증식이 중단되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없이 암세포는 죽고 맙니다.
⊙방영주(서울대 의대 암연구 소장): 암세포에 대한 선택적 살상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 각광을 받고 있고요.
⊙기자: 세계 최초로 3세대 항암제를 선보인 이 회사도 내후년 상용화를 목표로 암세포 전이를 막는 신약을 개발중입니다.
⊙유병환(SK제약 전략기획실장): 우리 천연물에 유래한 약이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극히 높다고 저희들은 보고 있습니다.
⊙기자: 또 암치료 기술에 있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이 빠른 나라에 속합니다.
⊙노재형(삼성서울병원 외과 교수): 미국에 있는 환자분들이 오히려 한국에 와서 수술을 받으려고 하시는 그런 경우도 많고요.
⊙권선자(위암 치유 4년차): 암이 골리앗인 것은 사실이지만 의사 선생님이나 병원간, 환자와 가족이 다 의지된다면 암은 충분히 이길 수 있어요.
⊙기자: 암 정복의 날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