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박한 민족의 마음-옹기를 다시 본다

입력 2005.04.13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외제그릇과 김치냉장고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우리의 전통 옹기들.
그 쓰임새와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선재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이 땅을 지켜온 흙덩이들이 한 겹씩 쌓아올려져 그릇벽이 됩니다.
손과 그릇이 구별되지 않은 일체감 속에 형태가 완성되면 잿물을 입혀 가마에서 구워냅니다.
⊙이용현(옹기 경력 15년): 옹기표면이 사람의 피부와 똑같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음식물 속에 있는 노폐물이나 이런 불순물을 밖으로 내보내고 그리고 좋은 것을 받아들이고...
⊙기자: 옹기야말로 우리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생활용기입니다.
쌀독이며 물동이 같은 부엌 살림을 기본으로 생활용품과 굴뚝까지 옹기로 만들다 보니 옹기 관련 속담만도 200개가 넘을 정도입니다.
⊙이신희(서울시 충신동): 간장을 담는다고 해 보세요, 지금 플라스틱 그릇에다 간장 담겠어요?
옹기그릇에 담아야 간장이 제대로 우러나고 제대로 맛이 들고 그러죠.
⊙기자: 그러나 외제그릇과 김치냉장고에 밀려 요즘은 퇴물신세가 됐고 생산하는 곳도 전국에서 열 손가락에 꼽기도 힘들 정도입니다.
⊙정규호(한국민속촌 학예연구사): 옹기가 얼마나 과학적이고 오늘날에도 실생활에 다양하게 쓸 수 있는 그릇이라는 것을 가르쳐주고 싶습니다.
⊙기자: 소박한 아름다움 속에서 자연친화적이고 지혜가 담긴 옹기는 천 수백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우리들이 아름다움에 눈을 떠서 자신을 다시 찾아주기를 다소곳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선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박한 민족의 마음-옹기를 다시 본다
    • 입력 2005-04-13 21:41:36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외제그릇과 김치냉장고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우리의 전통 옹기들. 그 쓰임새와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선재희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이 땅을 지켜온 흙덩이들이 한 겹씩 쌓아올려져 그릇벽이 됩니다. 손과 그릇이 구별되지 않은 일체감 속에 형태가 완성되면 잿물을 입혀 가마에서 구워냅니다. ⊙이용현(옹기 경력 15년): 옹기표면이 사람의 피부와 똑같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음식물 속에 있는 노폐물이나 이런 불순물을 밖으로 내보내고 그리고 좋은 것을 받아들이고... ⊙기자: 옹기야말로 우리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생활용기입니다. 쌀독이며 물동이 같은 부엌 살림을 기본으로 생활용품과 굴뚝까지 옹기로 만들다 보니 옹기 관련 속담만도 200개가 넘을 정도입니다. ⊙이신희(서울시 충신동): 간장을 담는다고 해 보세요, 지금 플라스틱 그릇에다 간장 담겠어요? 옹기그릇에 담아야 간장이 제대로 우러나고 제대로 맛이 들고 그러죠. ⊙기자: 그러나 외제그릇과 김치냉장고에 밀려 요즘은 퇴물신세가 됐고 생산하는 곳도 전국에서 열 손가락에 꼽기도 힘들 정도입니다. ⊙정규호(한국민속촌 학예연구사): 옹기가 얼마나 과학적이고 오늘날에도 실생활에 다양하게 쓸 수 있는 그릇이라는 것을 가르쳐주고 싶습니다. ⊙기자: 소박한 아름다움 속에서 자연친화적이고 지혜가 담긴 옹기는 천 수백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우리들이 아름다움에 눈을 떠서 자신을 다시 찾아주기를 다소곳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선재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