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엄지 공주들의 어린이날
입력 2005.05.04 (22: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숙아로 태어났지만 부모님의 애타는 마음을 아는 듯 건강하게 자라준 아이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윤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난해 엄마 뱃속에서 7달도 안 돼 세상에 나온 쌍둥이 자매 희망이와 소망이.
몸무게 500g 안팎의 초극소 미숙아로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며 무려 넉 달을 견뎌냈습니다.
1년이 지난 오늘 몸무게 8.7kg과 9.5kg의 건강한 모습으로 첫돌을 맞았습니다.
⊙김은미(희망, 소망엄마): 희망이 보고 희망이 너 있으면 사랑해라고 해요, 그러면 소망이가 희망이 가슴에다 이렇게 고개를 대거든요.
그 모습 볼 때가 참 행복하고...
⊙기자: 역시 1000g도 안 되는 극소 미숙아로 태어나 어느덧 2살이 된 소윤, 소예 쌍둥이자매.
아빠, 엄마는 씩씩한 모습이 대견할 뿐입니다.
⊙김태형(소윤, 소예 아빠): 남자아이처럼 개구쟁이로 커 가지고 엄마랑도 요즘은 심심치 않게 싸우고 있고요.
⊙기자: 같은 병원에서 태어나 다들 생사의 기로를 넘나들었던 미숙아들.
부모들은 마음 졸였던 순간들을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습니다.
⊙박은하(소윤, 소예 엄마): 상상도 안 돼요.
그 모습 보고 지금 상상도 할 수가 없고 ...
⊙기자: 우리나라에서 한 해 태어나는 미숙아는 전체 신생아의 8%인 7만여 명, 그 수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현재 70%대인 미숙아 생존율을 더욱 높여가는 것은 여전히 과제입니다.
KBS뉴스 정윤섭입니다.
정윤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난해 엄마 뱃속에서 7달도 안 돼 세상에 나온 쌍둥이 자매 희망이와 소망이.
몸무게 500g 안팎의 초극소 미숙아로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며 무려 넉 달을 견뎌냈습니다.
1년이 지난 오늘 몸무게 8.7kg과 9.5kg의 건강한 모습으로 첫돌을 맞았습니다.
⊙김은미(희망, 소망엄마): 희망이 보고 희망이 너 있으면 사랑해라고 해요, 그러면 소망이가 희망이 가슴에다 이렇게 고개를 대거든요.
그 모습 볼 때가 참 행복하고...
⊙기자: 역시 1000g도 안 되는 극소 미숙아로 태어나 어느덧 2살이 된 소윤, 소예 쌍둥이자매.
아빠, 엄마는 씩씩한 모습이 대견할 뿐입니다.
⊙김태형(소윤, 소예 아빠): 남자아이처럼 개구쟁이로 커 가지고 엄마랑도 요즘은 심심치 않게 싸우고 있고요.
⊙기자: 같은 병원에서 태어나 다들 생사의 기로를 넘나들었던 미숙아들.
부모들은 마음 졸였던 순간들을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습니다.
⊙박은하(소윤, 소예 엄마): 상상도 안 돼요.
그 모습 보고 지금 상상도 할 수가 없고 ...
⊙기자: 우리나라에서 한 해 태어나는 미숙아는 전체 신생아의 8%인 7만여 명, 그 수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현재 70%대인 미숙아 생존율을 더욱 높여가는 것은 여전히 과제입니다.
KBS뉴스 정윤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다섯 엄지 공주들의 어린이날
-
- 입력 2005-05-04 21:43:1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미숙아로 태어났지만 부모님의 애타는 마음을 아는 듯 건강하게 자라준 아이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정윤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지난해 엄마 뱃속에서 7달도 안 돼 세상에 나온 쌍둥이 자매 희망이와 소망이.
몸무게 500g 안팎의 초극소 미숙아로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며 무려 넉 달을 견뎌냈습니다.
1년이 지난 오늘 몸무게 8.7kg과 9.5kg의 건강한 모습으로 첫돌을 맞았습니다.
⊙김은미(희망, 소망엄마): 희망이 보고 희망이 너 있으면 사랑해라고 해요, 그러면 소망이가 희망이 가슴에다 이렇게 고개를 대거든요.
그 모습 볼 때가 참 행복하고...
⊙기자: 역시 1000g도 안 되는 극소 미숙아로 태어나 어느덧 2살이 된 소윤, 소예 쌍둥이자매.
아빠, 엄마는 씩씩한 모습이 대견할 뿐입니다.
⊙김태형(소윤, 소예 아빠): 남자아이처럼 개구쟁이로 커 가지고 엄마랑도 요즘은 심심치 않게 싸우고 있고요.
⊙기자: 같은 병원에서 태어나 다들 생사의 기로를 넘나들었던 미숙아들.
부모들은 마음 졸였던 순간들을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습니다.
⊙박은하(소윤, 소예 엄마): 상상도 안 돼요.
그 모습 보고 지금 상상도 할 수가 없고 ...
⊙기자: 우리나라에서 한 해 태어나는 미숙아는 전체 신생아의 8%인 7만여 명, 그 수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현재 70%대인 미숙아 생존율을 더욱 높여가는 것은 여전히 과제입니다.
KBS뉴스 정윤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