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적차량 횡행, 단속은 뒷걸음

입력 2000.04.2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이규원 앵커 :
과적 차량으로 인한 도로 파손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닙니다만 당국의 단속 소홀로 피
해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김태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김태선 기자 :
경기도 용인의 한 건설현장, 트럭에 흙을 꼭꼭 눌러 싣습니다. 한 트럭을 쫓아가 무게를
달아봤습니다. 기준치보다 4톤 이상 초과입니다. 국도를 오가는 다른 석 대의 트럭을 재
봤지만 역시 모두 과적입니다.
⊙ 과적트럭 운전사 :
우리는 조금 실으려고 하고 거기는 많이 실어주고 그러니까, 나중에 조금 실으면 차 가
지고 나가라, 그러니까 할 수 없는 거죠, 약자가.
⊙ 김태선 기자 :
심지어는 단속에 걸리면 처리해 주겠다는 각서를 써 주기까지 합니다. 건설 단가를 맞추
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게 업체의 주장입니다.
⊙ 건설업체 현장소장 :
짐을 조금이라도 더 실어야 되는데, 건설비는 적고, 물류비 줄이려다 보니... 그래야 (타
산이) 맞잖아요.
⊙ 김태선 기자 :
더욱 문제는 허술한 단속입니다. 경기도 과천의 한 과적 검문소, 단속요원이 잠을 자다
황급히 일어납니다.
- 하루에 몇 대씩 단속하죠?
⊙ 과적단속반 :
거의 통과차량으로 단속되는 건 없어요.
⊙ 김태선 기자 :
그나마 단속 기계는 고장이 나 있습니다. 또 다른 과적 검문소, 아예 문이 잠겨져 있습니
다. 트럭들이 무사 통과입니다.
⊙ 건설교통부 / 과적단속 담당 :
지난 해 기구 축소로 단속 인원 줄어서 (단속 미비한 것) 우리도 인정...
⊙ 김태선 기자 :
과적으로 파손된 도로를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은 해마다 1조 원 가량, 그러나 과적 차량
들은 오늘도 도로를 마음껏 질주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태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적차량 횡행, 단속은 뒷걸음
    • 입력 2000-04-2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 이규원 앵커 : 과적 차량으로 인한 도로 파손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닙니다만 당국의 단속 소홀로 피 해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김태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김태선 기자 : 경기도 용인의 한 건설현장, 트럭에 흙을 꼭꼭 눌러 싣습니다. 한 트럭을 쫓아가 무게를 달아봤습니다. 기준치보다 4톤 이상 초과입니다. 국도를 오가는 다른 석 대의 트럭을 재 봤지만 역시 모두 과적입니다. ⊙ 과적트럭 운전사 : 우리는 조금 실으려고 하고 거기는 많이 실어주고 그러니까, 나중에 조금 실으면 차 가 지고 나가라, 그러니까 할 수 없는 거죠, 약자가. ⊙ 김태선 기자 : 심지어는 단속에 걸리면 처리해 주겠다는 각서를 써 주기까지 합니다. 건설 단가를 맞추 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게 업체의 주장입니다. ⊙ 건설업체 현장소장 : 짐을 조금이라도 더 실어야 되는데, 건설비는 적고, 물류비 줄이려다 보니... 그래야 (타 산이) 맞잖아요. ⊙ 김태선 기자 : 더욱 문제는 허술한 단속입니다. 경기도 과천의 한 과적 검문소, 단속요원이 잠을 자다 황급히 일어납니다. - 하루에 몇 대씩 단속하죠? ⊙ 과적단속반 : 거의 통과차량으로 단속되는 건 없어요. ⊙ 김태선 기자 : 그나마 단속 기계는 고장이 나 있습니다. 또 다른 과적 검문소, 아예 문이 잠겨져 있습니 다. 트럭들이 무사 통과입니다. ⊙ 건설교통부 / 과적단속 담당 : 지난 해 기구 축소로 단속 인원 줄어서 (단속 미비한 것) 우리도 인정... ⊙ 김태선 기자 : 과적으로 파손된 도로를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은 해마다 1조 원 가량, 그러나 과적 차량 들은 오늘도 도로를 마음껏 질주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태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