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부풀리기 백태
입력 2005.06.15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지방도시의 분양가는 도대체 얼마나 올랐을까요?
전주의 경우에 3, 4년 만에 두세 배가 올라서 폭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초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입니다.
분양가는 평당 600만원대, 3년 전에 비해 2배나 뛰었습니다.
⊙김화경(주부): 계약해 놓으면 집값이 올라가고 또 계약하면 집값이 올라가고 하니까 서민들이 어디에다 맞춰야 할지 모르겠어요.
⊙기자: 이처럼 지방 중소도시의 아파트값이 계속해서 치솟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격 거품 때문이라는 비난이 많습니다.
먼저 지방업체와 지명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가 시행시공을 분담하며 이른바 대박을 노리는 과정에서 거품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떴다방을 동원한 분양 전략이나 개발된 택지를 최고가로 매각하는 낙찰방식도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시공 업체 간부: 토지 매입에 대한 금융 부담 줄이려고 직접 토지를 사서 아파트 짓는 것은 피하고 있죠.
⊙기자: 시민단체는 땅값과 건축비가 올랐다고 해도 분양가가 너무 부풀려졌다고 주장합니다.
⊙최두현(아파트공동체연구소 정책실장): 건축비를 300만원 정도 제반 부대비용을 고려한다면 500만원 이상을 크게 넘지 않을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기자: 여기에 호화모델하우스와 광고경쟁, 중소도시까지 뻗는 수도권 투기자본까지 가세하면서 지방의 아파트값이 해마다 수직 상승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재홍입니다.
전주의 경우에 3, 4년 만에 두세 배가 올라서 폭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초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입니다.
분양가는 평당 600만원대, 3년 전에 비해 2배나 뛰었습니다.
⊙김화경(주부): 계약해 놓으면 집값이 올라가고 또 계약하면 집값이 올라가고 하니까 서민들이 어디에다 맞춰야 할지 모르겠어요.
⊙기자: 이처럼 지방 중소도시의 아파트값이 계속해서 치솟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격 거품 때문이라는 비난이 많습니다.
먼저 지방업체와 지명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가 시행시공을 분담하며 이른바 대박을 노리는 과정에서 거품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떴다방을 동원한 분양 전략이나 개발된 택지를 최고가로 매각하는 낙찰방식도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시공 업체 간부: 토지 매입에 대한 금융 부담 줄이려고 직접 토지를 사서 아파트 짓는 것은 피하고 있죠.
⊙기자: 시민단체는 땅값과 건축비가 올랐다고 해도 분양가가 너무 부풀려졌다고 주장합니다.
⊙최두현(아파트공동체연구소 정책실장): 건축비를 300만원 정도 제반 부대비용을 고려한다면 500만원 이상을 크게 넘지 않을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기자: 여기에 호화모델하우스와 광고경쟁, 중소도시까지 뻗는 수도권 투기자본까지 가세하면서 지방의 아파트값이 해마다 수직 상승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재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트 분양가 부풀리기 백태
-
- 입력 2005-06-15 21:16:5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그렇다면 지방도시의 분양가는 도대체 얼마나 올랐을까요?
전주의 경우에 3, 4년 만에 두세 배가 올라서 폭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초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입니다.
분양가는 평당 600만원대, 3년 전에 비해 2배나 뛰었습니다.
⊙김화경(주부): 계약해 놓으면 집값이 올라가고 또 계약하면 집값이 올라가고 하니까 서민들이 어디에다 맞춰야 할지 모르겠어요.
⊙기자: 이처럼 지방 중소도시의 아파트값이 계속해서 치솟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격 거품 때문이라는 비난이 많습니다.
먼저 지방업체와 지명도가 높은 대형 건설사가 시행시공을 분담하며 이른바 대박을 노리는 과정에서 거품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떴다방을 동원한 분양 전략이나 개발된 택지를 최고가로 매각하는 낙찰방식도 가격 상승을 부추겼습니다.
⊙시공 업체 간부: 토지 매입에 대한 금융 부담 줄이려고 직접 토지를 사서 아파트 짓는 것은 피하고 있죠.
⊙기자: 시민단체는 땅값과 건축비가 올랐다고 해도 분양가가 너무 부풀려졌다고 주장합니다.
⊙최두현(아파트공동체연구소 정책실장): 건축비를 300만원 정도 제반 부대비용을 고려한다면 500만원 이상을 크게 넘지 않을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기자: 여기에 호화모델하우스와 광고경쟁, 중소도시까지 뻗는 수도권 투기자본까지 가세하면서 지방의 아파트값이 해마다 수직 상승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재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