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선진국 초등학교 때부터 교육
입력 2005.06.15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어디에서 응급처치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선진국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철저히 교육을 하는데 우리는 특별활동수업 정도가 고작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한 고등학교의 특별활동시간, 심폐소생술 실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창우(분당 낙생고등학교): 몇 개월 동안 배워보니까 직접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람이 옆에서 쓰러지면...
⊙기자: 하지만 국내에서는 특별활동 시간을 제외하고는 이런 심폐소생술 교육이 거의 없습니다.
선진국의 경우 초등학교 때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진국에서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3, 40%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심장마비의 80%는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익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중호(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가슴만 잘 압박을 해 줘도 뇌사를 충분히 줄일 수 있고 생존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가슴압박이 제일 중요합니다.
⊙기자: 심폐소생술은 교육만 받으면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가슴을 압박할 때는 이처럼 팔꿈치를 쫙 펴고 팔과 환자의 몸이 수직이 되게 해서 체중을 실어주어야 합니다.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학교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합니다.
KBS뉴스 이충헌입니다.
선진국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철저히 교육을 하는데 우리는 특별활동수업 정도가 고작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한 고등학교의 특별활동시간, 심폐소생술 실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창우(분당 낙생고등학교): 몇 개월 동안 배워보니까 직접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람이 옆에서 쓰러지면...
⊙기자: 하지만 국내에서는 특별활동 시간을 제외하고는 이런 심폐소생술 교육이 거의 없습니다.
선진국의 경우 초등학교 때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진국에서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3, 40%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심장마비의 80%는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익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중호(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가슴만 잘 압박을 해 줘도 뇌사를 충분히 줄일 수 있고 생존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가슴압박이 제일 중요합니다.
⊙기자: 심폐소생술은 교육만 받으면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가슴을 압박할 때는 이처럼 팔꿈치를 쫙 펴고 팔과 환자의 몸이 수직이 되게 해서 체중을 실어주어야 합니다.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학교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합니다.
KBS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선진국 초등학교 때부터 교육
-
- 입력 2005-06-15 21:24:5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그러면 어디에서 응급처치법을 배울 수 있을까요?
선진국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철저히 교육을 하는데 우리는 특별활동수업 정도가 고작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한 고등학교의 특별활동시간, 심폐소생술 실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창우(분당 낙생고등학교): 몇 개월 동안 배워보니까 직접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사람이 옆에서 쓰러지면...
⊙기자: 하지만 국내에서는 특별활동 시간을 제외하고는 이런 심폐소생술 교육이 거의 없습니다.
선진국의 경우 초등학교 때부터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선진국에서는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3, 40%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심장마비의 80%는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심폐소생술을 익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중호(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가슴만 잘 압박을 해 줘도 뇌사를 충분히 줄일 수 있고 생존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가슴압박이 제일 중요합니다.
⊙기자: 심폐소생술은 교육만 받으면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습니다.
가슴을 압박할 때는 이처럼 팔꿈치를 쫙 펴고 팔과 환자의 몸이 수직이 되게 해서 체중을 실어주어야 합니다.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학교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합니다.
KBS뉴스 이충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