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실험은 지구와 혜성의 충돌이라는 대재앙에 대비하고 태양계 생성의 신비를 풀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험목적과 그 의미를 김동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아리조나주에 있는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한 화면입니다.
템펠1 혜성이 1억 3400만킬로미터 떨어진 우주공간을 가로지르다 혜성탐사선 딥임팩트호에 발사된 충돌체와 충돌한 순간입니다.
충돌 직후 혜성의 밝기는 2배 이상 밝아졌고 30분이 지나자 밝기는 5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충돌체의 크기는 고작해야 1m지만 시속 3만 6000km 속도의 혜성과 충돌하면서 TNT 5000톤급의 에너지가 분출한 것입니다.
딥임팩트 실험의 목적은 이렇게 엄청난 폭발력을 갖고 있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했을 때를 대비한 자구책을 만드는데 있습니다.
⊙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지구에 다가올 수 있는 혜성의 궤도를 변경한다는 측면에서는 많이 부족함이 있지만 앞으로 다가올지도 모를 그런 위협에 대비한 그런 전초 실험이다...
⊙기자: 또 목성이나 토성과 같은 가스행성과 유사한 혜성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이번 충돌로 혜성에 생긴 웅덩이와 파편
등이 46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됐을 당시의 과정을 엿보게 해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자: KBS뉴스 김동진입니다.
실험목적과 그 의미를 김동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아리조나주에 있는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한 화면입니다.
템펠1 혜성이 1억 3400만킬로미터 떨어진 우주공간을 가로지르다 혜성탐사선 딥임팩트호에 발사된 충돌체와 충돌한 순간입니다.
충돌 직후 혜성의 밝기는 2배 이상 밝아졌고 30분이 지나자 밝기는 5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충돌체의 크기는 고작해야 1m지만 시속 3만 6000km 속도의 혜성과 충돌하면서 TNT 5000톤급의 에너지가 분출한 것입니다.
딥임팩트 실험의 목적은 이렇게 엄청난 폭발력을 갖고 있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했을 때를 대비한 자구책을 만드는데 있습니다.
⊙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지구에 다가올 수 있는 혜성의 궤도를 변경한다는 측면에서는 많이 부족함이 있지만 앞으로 다가올지도 모를 그런 위협에 대비한 그런 전초 실험이다...
⊙기자: 또 목성이나 토성과 같은 가스행성과 유사한 혜성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이번 충돌로 혜성에 생긴 웅덩이와 파편
등이 46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됐을 당시의 과정을 엿보게 해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자: KBS뉴스 김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양계 생성 신비 풀리나?
-
- 입력 2005-07-04 20:59:4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번 실험은 지구와 혜성의 충돌이라는 대재앙에 대비하고 태양계 생성의 신비를 풀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험목적과 그 의미를 김동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아리조나주에 있는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한 화면입니다.
템펠1 혜성이 1억 3400만킬로미터 떨어진 우주공간을 가로지르다 혜성탐사선 딥임팩트호에 발사된 충돌체와 충돌한 순간입니다.
충돌 직후 혜성의 밝기는 2배 이상 밝아졌고 30분이 지나자 밝기는 5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충돌체의 크기는 고작해야 1m지만 시속 3만 6000km 속도의 혜성과 충돌하면서 TNT 5000톤급의 에너지가 분출한 것입니다.
딥임팩트 실험의 목적은 이렇게 엄청난 폭발력을 갖고 있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했을 때를 대비한 자구책을 만드는데 있습니다.
⊙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지구에 다가올 수 있는 혜성의 궤도를 변경한다는 측면에서는 많이 부족함이 있지만 앞으로 다가올지도 모를 그런 위협에 대비한 그런 전초 실험이다...
⊙기자: 또 목성이나 토성과 같은 가스행성과 유사한 혜성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이번 충돌로 혜성에 생긴 웅덩이와 파편
등이 46억년 전 태양계가 형성됐을 당시의 과정을 엿보게 해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자: KBS뉴스 김동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