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매매-전세 상승률 차이 34배

입력 2005.07.05 (22: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서울 강남의 아파트 값이 계속 폭등세를 보이면서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상승률 격차가 34배로 나타나 집값이 오를 대로 오른 것 아니냐는 그런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른바 사교육 일번지로 불리우는 서울 강남의 대치동 일대입니다.
예년 같으면 방학을 앞두고 전세를 찾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올해는 방학 특수라는 말이 사라질 정도로 전세 시장이 침체돼 있습니다.
⊙성유신(부동산 중개업자): 전세문의 자체도 거의 끊어진 상태고요.
작년도에 비한다면 그러면 아예 거래가 멈춰져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자: 이 때문에 31평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는 최근 한 달 동안에만 3500만원이 올랐지만 전세가는 연초나 지금이나 별 변동이 없습니다.
실제 건교부의 분석 결과 지난 2002년 이후 강남 지역 매매가는 54.6%나 올랐지만 전세가는 1.6% 상승에 그쳐 상승률 차이가 34배로 벌어졌습니다.
이러다 보니 강남지역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도 2001년 60%에서 지난달에는 42%대로 떨어졌습니다.
⊙김영진(내집마련정보사 대표): 상승률 격차가 이렇게 크게 벌어지는 것은 호가 위주로의 집값 상승이 계속돼서 꼭지점에 다다르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이런 현상은 실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시세 차익만 노린 가수요에 의해 매매가만 급격히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강남을 비롯해 최근 집값이 급등한 지역은 이처럼 거품 요소가 많기 때문에 지금 섣불리 추격매수에 나서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남 매매-전세 상승률 차이 34배
    • 입력 2005-07-05 21:02:35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최근 서울 강남의 아파트 값이 계속 폭등세를 보이면서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상승률 격차가 34배로 나타나 집값이 오를 대로 오른 것 아니냐는 그런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른바 사교육 일번지로 불리우는 서울 강남의 대치동 일대입니다. 예년 같으면 방학을 앞두고 전세를 찾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올해는 방학 특수라는 말이 사라질 정도로 전세 시장이 침체돼 있습니다. ⊙성유신(부동산 중개업자): 전세문의 자체도 거의 끊어진 상태고요. 작년도에 비한다면 그러면 아예 거래가 멈춰져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자: 이 때문에 31평 아파트의 경우 매매가는 최근 한 달 동안에만 3500만원이 올랐지만 전세가는 연초나 지금이나 별 변동이 없습니다. 실제 건교부의 분석 결과 지난 2002년 이후 강남 지역 매매가는 54.6%나 올랐지만 전세가는 1.6% 상승에 그쳐 상승률 차이가 34배로 벌어졌습니다. 이러다 보니 강남지역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도 2001년 60%에서 지난달에는 42%대로 떨어졌습니다. ⊙김영진(내집마련정보사 대표): 상승률 격차가 이렇게 크게 벌어지는 것은 호가 위주로의 집값 상승이 계속돼서 꼭지점에 다다르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이런 현상은 실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시세 차익만 노린 가수요에 의해 매매가만 급격히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강남을 비롯해 최근 집값이 급등한 지역은 이처럼 거품 요소가 많기 때문에 지금 섣불리 추격매수에 나서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뉴스 이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