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독도섬 곳곳에서 균열과 침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자연 현상이라고 하지만 독도에 설치된 각종 인공 구조물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독도경비대 초소와 대공포가 있는 동도 정상 부근입니다.
좁고 가파른 통로 옆에 넓이가 20cm 정도의 균열이 발견됐습니다.
균열은 사선 모양으로 섬 아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영규(박사/국립환경연구원): 아무래도 이쪽이 상대적으로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풍화라든지 침식이 쉬운 그런 조건이 됩니다.
동도 바로 옆 서도에서는 암반과 흙들이 무너져내렸습니다.
떨어져 나온 암반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고 또 다른 붕괴마저 우려됩니다.
특히 독도의 수면 부근은 지질이 약한 데다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급격히 해체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독도가 460만년 전 화산폭발로 형성돼 지질이 약하고 기후조건마저 나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여기에다 경비대 막사와 등대 등 각종 구조물들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복철(박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금 독도가 전체적인 규모에 비해서 일단 구조물들이 조금 다소 많이 집중돼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은 했는데...
⊙기자: 정부는 이달부터 1년 동안 독도지질과 인공구조물들의 붕괴 위험 등에 대해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자연 현상이라고 하지만 독도에 설치된 각종 인공 구조물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독도경비대 초소와 대공포가 있는 동도 정상 부근입니다.
좁고 가파른 통로 옆에 넓이가 20cm 정도의 균열이 발견됐습니다.
균열은 사선 모양으로 섬 아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영규(박사/국립환경연구원): 아무래도 이쪽이 상대적으로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풍화라든지 침식이 쉬운 그런 조건이 됩니다.
동도 바로 옆 서도에서는 암반과 흙들이 무너져내렸습니다.
떨어져 나온 암반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고 또 다른 붕괴마저 우려됩니다.
특히 독도의 수면 부근은 지질이 약한 데다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급격히 해체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독도가 460만년 전 화산폭발로 형성돼 지질이 약하고 기후조건마저 나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여기에다 경비대 막사와 등대 등 각종 구조물들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복철(박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금 독도가 전체적인 규모에 비해서 일단 구조물들이 조금 다소 많이 집중돼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은 했는데...
⊙기자: 정부는 이달부터 1년 동안 독도지질과 인공구조물들의 붕괴 위험 등에 대해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도, 가라앉고 갈라지고
-
- 입력 2005-07-12 21:35:5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독도섬 곳곳에서 균열과 침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자연 현상이라고 하지만 독도에 설치된 각종 인공 구조물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독도경비대 초소와 대공포가 있는 동도 정상 부근입니다.
좁고 가파른 통로 옆에 넓이가 20cm 정도의 균열이 발견됐습니다.
균열은 사선 모양으로 섬 아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신영규(박사/국립환경연구원): 아무래도 이쪽이 상대적으로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 풍화라든지 침식이 쉬운 그런 조건이 됩니다.
동도 바로 옆 서도에서는 암반과 흙들이 무너져내렸습니다.
떨어져 나온 암반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고 또 다른 붕괴마저 우려됩니다.
특히 독도의 수면 부근은 지질이 약한 데다 파도에 의한 침식으로 급격히 해체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에 대해 독도가 460만년 전 화산폭발로 형성돼 지질이 약하고 기후조건마저 나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여기에다 경비대 막사와 등대 등 각종 구조물들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복철(박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금 독도가 전체적인 규모에 비해서 일단 구조물들이 조금 다소 많이 집중돼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은 했는데...
⊙기자: 정부는 이달부터 1년 동안 독도지질과 인공구조물들의 붕괴 위험 등에 대해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