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컴 前 회장, 회계 부정 징역 25년”
입력 2005.07.14 (22:0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규모 회계부정을 저질러 기업을 파산케 한 미국의 최고 경영자에게 징역 25년이라는 중형이 선고됐습니다.
뉴욕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회계부정으로 파산한 장거리통신회사 월드컴.
이 회사 최고 경영자였던 버나드 에버스에게 징역 25년형이 선고됐습니다.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110억달러 규모의 회계부정을 주도한 혐의입니다.
종신형이나 다름없는 중형이 선고되자 올해 63살의 에버스 회장 부부는 울먹였지만 종업원들은 환영했습니다.
⊙부루엔(월드컴 종업원): 기업 범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신호를 보낸 훌륭한 판결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에버스 회장은 이번 재판에 앞서 450억원 규모의 개인재산을 과거 주주들에게 넘겨주는 등 형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와인가르텐(피고측 변호사): 에버스 회장은 탐욕적인 기업가가 아니라 자선활동을 많이 했고 친절하며 동점심 많은 사람입니다.
⊙기자: 미국에서는 지난 2001년 엔론사 파산 이후 회계부정 등 범죄를 저지른 기업인에 대한 처벌이 대폭 강화됐습니다.
회계부정과 파산으로 수많은 주주와 종업원들을 울린 미국의 다른 기업인들도 이제는 발뻗고 자기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뉴욕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회계부정으로 파산한 장거리통신회사 월드컴.
이 회사 최고 경영자였던 버나드 에버스에게 징역 25년형이 선고됐습니다.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110억달러 규모의 회계부정을 주도한 혐의입니다.
종신형이나 다름없는 중형이 선고되자 올해 63살의 에버스 회장 부부는 울먹였지만 종업원들은 환영했습니다.
⊙부루엔(월드컴 종업원): 기업 범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신호를 보낸 훌륭한 판결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에버스 회장은 이번 재판에 앞서 450억원 규모의 개인재산을 과거 주주들에게 넘겨주는 등 형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와인가르텐(피고측 변호사): 에버스 회장은 탐욕적인 기업가가 아니라 자선활동을 많이 했고 친절하며 동점심 많은 사람입니다.
⊙기자: 미국에서는 지난 2001년 엔론사 파산 이후 회계부정 등 범죄를 저지른 기업인에 대한 처벌이 대폭 강화됐습니다.
회계부정과 파산으로 수많은 주주와 종업원들을 울린 미국의 다른 기업인들도 이제는 발뻗고 자기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컴 前 회장, 회계 부정 징역 25년”
-
- 입력 2005-07-14 21:36:5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대규모 회계부정을 저질러 기업을 파산케 한 미국의 최고 경영자에게 징역 25년이라는 중형이 선고됐습니다.
뉴욕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회계부정으로 파산한 장거리통신회사 월드컴.
이 회사 최고 경영자였던 버나드 에버스에게 징역 25년형이 선고됐습니다.
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110억달러 규모의 회계부정을 주도한 혐의입니다.
종신형이나 다름없는 중형이 선고되자 올해 63살의 에버스 회장 부부는 울먹였지만 종업원들은 환영했습니다.
⊙부루엔(월드컴 종업원): 기업 범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신호를 보낸 훌륭한 판결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에버스 회장은 이번 재판에 앞서 450억원 규모의 개인재산을 과거 주주들에게 넘겨주는 등 형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와인가르텐(피고측 변호사): 에버스 회장은 탐욕적인 기업가가 아니라 자선활동을 많이 했고 친절하며 동점심 많은 사람입니다.
⊙기자: 미국에서는 지난 2001년 엔론사 파산 이후 회계부정 등 범죄를 저지른 기업인에 대한 처벌이 대폭 강화됐습니다.
회계부정과 파산으로 수많은 주주와 종업원들을 울린 미국의 다른 기업인들도 이제는 발뻗고 자기 힘든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