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정부 시위대 은밀히 검거…불복종 확산 우려”

입력 2023.01.16 (21:44) 수정 2023.01.16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에서 지난 연말 반정부 시위에 참가했던 사람들이 은밀하게 검거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최근 중국에서 각종 시위가 잇따르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불복종을 용인하기도, 묵인하기도 어려운 딜레마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연말 베이징 중심가에서 열린 '제로 코로나' 정책 반대 시위 현장, 시진핑 주석과 정치 체제를 비판하는 구호까지 터져 나왔습니다.

["문화혁명 필요 없다! 개혁이 필요하다! 영수는 필요 없다! 선거권이 필요하다!"]

중국의 인권 침해 사례를 추적하는 웹사이트는 시위대 가운데 20명 넘게 이미 검거됐다며 사례까지 제시했습니다.

다른 단체의 주장까지 인용해 100명 넘게 구금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이른바 '백지 시위'를 계기로 중국 당국이 정책을 바꿨고 시진핑 주석이 이견을 용인하는 듯한 발언도 했습니다.

[시진핑/중국 국가주석/올해 신년사 : "같은 일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정상입니다. 소통과 협상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벌어진 은밀한 검거는 중국 당국의 딜레마를 반영한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불복종을 용인하는 인상을 줄까 우려하면서도 폭력적 진압으로 자칫 상황을 악화시켜도 안 된다는 겁니다.

실제 최근 중국에선 '위드 코로나'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은 물론, 폭죽 금지 정책에 항의하는 시민들도 시위에 나설 정도로 시위가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왕단/천안문 민주화 운동 주도/해외 망명 : "이 시대는 항쟁이 특징인 시대입니다. 중국 젊은이들이 각성한 새로운 시대입니다. 대중 사회가 더 이상 침묵하지 않고 폭정과 맞서기로 결정한 시대입니다."]

중국 관영매체들이 공산당과 지도부에 대한 충성을 연일 강조하고 있지만, 집단 행동의 효능을 맛본 시민들이 물리적 행동을 쉽게 그만둘지는 미지수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자료조사:안소현/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반정부 시위대 은밀히 검거…불복종 확산 우려”
    • 입력 2023-01-16 21:44:23
    • 수정2023-01-16 22:04:02
    뉴스 9
[앵커]

중국에서 지난 연말 반정부 시위에 참가했던 사람들이 은밀하게 검거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최근 중국에서 각종 시위가 잇따르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불복종을 용인하기도, 묵인하기도 어려운 딜레마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베이징 조성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지난 연말 베이징 중심가에서 열린 '제로 코로나' 정책 반대 시위 현장, 시진핑 주석과 정치 체제를 비판하는 구호까지 터져 나왔습니다.

["문화혁명 필요 없다! 개혁이 필요하다! 영수는 필요 없다! 선거권이 필요하다!"]

중국의 인권 침해 사례를 추적하는 웹사이트는 시위대 가운데 20명 넘게 이미 검거됐다며 사례까지 제시했습니다.

다른 단체의 주장까지 인용해 100명 넘게 구금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이른바 '백지 시위'를 계기로 중국 당국이 정책을 바꿨고 시진핑 주석이 이견을 용인하는 듯한 발언도 했습니다.

[시진핑/중국 국가주석/올해 신년사 : "같은 일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정상입니다. 소통과 협상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벌어진 은밀한 검거는 중국 당국의 딜레마를 반영한다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불복종을 용인하는 인상을 줄까 우려하면서도 폭력적 진압으로 자칫 상황을 악화시켜도 안 된다는 겁니다.

실제 최근 중국에선 '위드 코로나'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은 물론, 폭죽 금지 정책에 항의하는 시민들도 시위에 나설 정도로 시위가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왕단/천안문 민주화 운동 주도/해외 망명 : "이 시대는 항쟁이 특징인 시대입니다. 중국 젊은이들이 각성한 새로운 시대입니다. 대중 사회가 더 이상 침묵하지 않고 폭정과 맞서기로 결정한 시대입니다."]

중국 관영매체들이 공산당과 지도부에 대한 충성을 연일 강조하고 있지만, 집단 행동의 효능을 맛본 시민들이 물리적 행동을 쉽게 그만둘지는 미지수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조성원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자료조사:안소현/그래픽:서수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