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밀 문서 유출’ 파장 확산…野 “의회가 나서야”

입력 2023.01.16 (21:46) 수정 2023.01.16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전 대통령에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도 기밀 문서를 유출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국 정치권이 들끓고 있습니다.

전, 현직 대통령이 동시에 특검 수사를 받게 됐는데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자택에서 기밀 문서 수백 건이 발견됐을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지난해 9월, 미 CBS 인터뷰 :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죠? 사람이 그렇게 무책임할 수 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그런데, 바이든 대통령 역시 부통령 시절 기밀 문서들을 개인 사무실과 사저에 보관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발견 즉시 반납했고 문서 수량도 20여 건에 불과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특별검사 임명으로 미국 전·현직 대통령이 동시에 '기밀문서 유출' 수사 대상에 오르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습니다.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며 본격 공세에 나섰습니다.

중간 선거 전에 반납했는 데도 늦게 공개한 이유는 물론, 바이든 대통령이 언제 알았는지 등 법무부가 임명한 특검만으로는 진상 규명에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케빈 매카시/미 하원의장 : "의회는 법무부의 모든 업무를 감독할 독립적·헌법적 의무가 있으며 여기에는 특별검사도 포함됩니다."]

반면, 민주당은 일단 특검 수사를 지켜보자고 맞섰습니다.

[제이미 라스킨/미 하원 의원/민주당 : "양측 모두 신뢰받은 법률가들로 구성된 특검인데, 특검 손에 맡기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바이든 대통령 자신이 문서 유출 파문에 휘말리면서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던 재선 출마 공식화도 시기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기밀 문서 유출’ 파장 확산…野 “의회가 나서야”
    • 입력 2023-01-16 21:46:36
    • 수정2023-01-16 22:04:02
    뉴스 9
[앵커]

트럼프 전 대통령에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도 기밀 문서를 유출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미국 정치권이 들끓고 있습니다.

전, 현직 대통령이 동시에 특검 수사를 받게 됐는데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도 요구하고 있습니다.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자택에서 기밀 문서 수백 건이 발견됐을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조 바이든/미 대통령/지난해 9월, 미 CBS 인터뷰 :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죠? 사람이 그렇게 무책임할 수 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그런데, 바이든 대통령 역시 부통령 시절 기밀 문서들을 개인 사무실과 사저에 보관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발견 즉시 반납했고 문서 수량도 20여 건에 불과하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특별검사 임명으로 미국 전·현직 대통령이 동시에 '기밀문서 유출' 수사 대상에 오르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습니다.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며 본격 공세에 나섰습니다.

중간 선거 전에 반납했는 데도 늦게 공개한 이유는 물론, 바이든 대통령이 언제 알았는지 등 법무부가 임명한 특검만으로는 진상 규명에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케빈 매카시/미 하원의장 : "의회는 법무부의 모든 업무를 감독할 독립적·헌법적 의무가 있으며 여기에는 특별검사도 포함됩니다."]

반면, 민주당은 일단 특검 수사를 지켜보자고 맞섰습니다.

[제이미 라스킨/미 하원 의원/민주당 : "양측 모두 신뢰받은 법률가들로 구성된 특검인데, 특검 손에 맡기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바이든 대통령 자신이 문서 유출 파문에 휘말리면서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던 재선 출마 공식화도 시기 조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기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