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태원 국정조사 종료…‘이상민 파면’ 등 진통

입력 2023.01.17 (06:12) 수정 2023.01.17 (08: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위가 오늘(17일)로 활동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보고서 채택만 남았는데, 이상민 행안부 장관에 대한 책임 명시를 두고 여야의 입장 차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별도의 진상 조사기구 설치나 특검 도입 여부 등도 남은 쟁점입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차례 연장 끝에 오늘, 55일간의 활동을 마감하는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위.

남은 건 결과 보고서 채택인데 어떤 내용을 담을지를 두고 여야의 입장 차가 여전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특수본 수사 결과가 '꼬리 자르기'에 그친 만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에 대한 문책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재난컨트롤 타워를 적기에 운영하지 못해 혼란을 야기한 책임이 있고, 유가족 명단 존재를 두고는 위증 의혹까지 보였다는 겁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대통령의 진솔한 사과와 이상민 장관의 파면, 그리고 2차 가해에 대한 엄단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합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상민 장관 등에 책임을 묻는 건 정치적 주장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특수본 수사 결과, 법적 책임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는 겁니다.

[송언석/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 : "용산구청장 등 몇 사람만 문제가 있다, 책임이 있다고 해서. 그 부분에 걸맞은 수준에서 보고서 채택이 이뤄지는 것이 마땅한 것 아닌가..."]

야당의 독립된 진상조사 기구와 특검 요구 주장에 대해서도 여당은 국정조사 실패를 자인하는 꼴이라며 미온적인 입장입니다.

자칫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처럼 보고서 채택 없이 국정조사 특위가 종료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는데, 여야는 오늘 오후 마지막 전체회의를 열고 극적 타결을 시도합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박상욱/영상편집:이윤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 이태원 국정조사 종료…‘이상민 파면’ 등 진통
    • 입력 2023-01-17 06:12:13
    • 수정2023-01-17 08:07:23
    뉴스광장 1부
[앵커]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위가 오늘(17일)로 활동을 모두 마무리합니다.

보고서 채택만 남았는데, 이상민 행안부 장관에 대한 책임 명시를 두고 여야의 입장 차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별도의 진상 조사기구 설치나 특검 도입 여부 등도 남은 쟁점입니다.

방준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차례 연장 끝에 오늘, 55일간의 활동을 마감하는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위.

남은 건 결과 보고서 채택인데 어떤 내용을 담을지를 두고 여야의 입장 차가 여전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특수본 수사 결과가 '꼬리 자르기'에 그친 만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등에 대한 문책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재난컨트롤 타워를 적기에 운영하지 못해 혼란을 야기한 책임이 있고, 유가족 명단 존재를 두고는 위증 의혹까지 보였다는 겁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대통령의 진솔한 사과와 이상민 장관의 파면, 그리고 2차 가해에 대한 엄단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합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상민 장관 등에 책임을 묻는 건 정치적 주장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특수본 수사 결과, 법적 책임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는 겁니다.

[송언석/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 : "용산구청장 등 몇 사람만 문제가 있다, 책임이 있다고 해서. 그 부분에 걸맞은 수준에서 보고서 채택이 이뤄지는 것이 마땅한 것 아닌가..."]

야당의 독립된 진상조사 기구와 특검 요구 주장에 대해서도 여당은 국정조사 실패를 자인하는 꼴이라며 미온적인 입장입니다.

자칫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처럼 보고서 채택 없이 국정조사 특위가 종료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는데, 여야는 오늘 오후 마지막 전체회의를 열고 극적 타결을 시도합니다.

KBS 뉴스 방준원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박상욱/영상편집:이윤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