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해법에 與 “현실적 해법” 野 “피해자 능욕”

입력 2023.01.17 (19:15) 수정 2023.01.17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강제동원 해법과 관련해 첨예한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여당은 해결을 서둘러야 한다며 현실적 해법이란 반응이었지만, 야당은 피해자를 능욕하는 안이라며 비판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오늘도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 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제 강제동원 배상 해법에 대한 정부 안을 보고 받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제3자인 재단을 통해 강제동원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식에, 야당은 정부가 '굴욕 외교'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전범기업의 기금 참여와 사죄에 대해, 일본 측의 자발적 참여를 기대하는 것은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만 마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상희/더불어민주당 의원 : "전적으로 (일본의) 책임을 완벽하게 면제해 주면서 수십년 간 일본 전범 기업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 싸워왔던 우리 피해자들을 정말 아주 능욕하는 행위입니다."]

여당은 피해자들이 고령이란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맞받았습니다.

한일 관계가 개선되려는 중요한 시점인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해 야당도 협조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정진석/국민의힘 의원 : "또 다른 정파에서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도 못해요. 제가 볼 때는 제 3자 대위변제 이런 것이 과거 문희상 국회의장님 아이디어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고 더 이상의 해법이 없어요."]

정부는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 조치'를 전제로 양국이 해법을 협의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조현동/외교부 1차관 : "저희가 일본으로부터의 호응 조치가 아무것도 없다면 협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와 지원 단체들은 오늘도 정부안을 비판하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피해자가 아닌 일본을 위한 것이라며, '매국 외교'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양금덕/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 "내가 지금 아흔 넷이지만은 내일 죽는다는 한이 있어도 안 받을랍니다. 그런 더러운 돈은."]

양국 정상이 최근 잇따라 현안 해결과 관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부와 피해자 측의 간극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동원 해법에 與 “현실적 해법” 野 “피해자 능욕”
    • 입력 2023-01-17 19:15:21
    • 수정2023-01-17 19:46:06
    뉴스 7
[앵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강제동원 해법과 관련해 첨예한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여당은 해결을 서둘러야 한다며 현실적 해법이란 반응이었지만, 야당은 피해자를 능욕하는 안이라며 비판했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오늘도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 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이세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제 강제동원 배상 해법에 대한 정부 안을 보고 받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제3자인 재단을 통해 강제동원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식에, 야당은 정부가 '굴욕 외교'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전범기업의 기금 참여와 사죄에 대해, 일본 측의 자발적 참여를 기대하는 것은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만 마시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김상희/더불어민주당 의원 : "전적으로 (일본의) 책임을 완벽하게 면제해 주면서 수십년 간 일본 전범 기업의 책임을 묻기 위해서 싸워왔던 우리 피해자들을 정말 아주 능욕하는 행위입니다."]

여당은 피해자들이 고령이란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맞받았습니다.

한일 관계가 개선되려는 중요한 시점인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해 야당도 협조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정진석/국민의힘 의원 : "또 다른 정파에서 뚜렷한 해법을 내놓지도 못해요. 제가 볼 때는 제 3자 대위변제 이런 것이 과거 문희상 국회의장님 아이디어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고 더 이상의 해법이 없어요."]

정부는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 조치'를 전제로 양국이 해법을 협의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조현동/외교부 1차관 : "저희가 일본으로부터의 호응 조치가 아무것도 없다면 협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강제동원 피해자와 지원 단체들은 오늘도 정부안을 비판하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피해자가 아닌 일본을 위한 것이라며, '매국 외교'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양금덕/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 "내가 지금 아흔 넷이지만은 내일 죽는다는 한이 있어도 안 받을랍니다. 그런 더러운 돈은."]

양국 정상이 최근 잇따라 현안 해결과 관계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부와 피해자 측의 간극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