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中 경제성장률 3.0%…인구도 61년 만에 첫 감소

입력 2023.01.17 (19:25) 수정 2023.01.17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해 왔던 중국이 지난해, 4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인구도 61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무엇을 의미하는지, 베이징 이랑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공장과 도시 곳곳이 봉쇄됐고, 고강도 방역에 지친 사람들은 방어벽을 부수고 밖으로 뛰쳐나왔습니다.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중국에서 불과 50여 일 전 벌어졌던 일입니다.

잦은 봉쇄로 인한 경제 타격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에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전년 대비 3.0% 증가에 그쳤는데 세계은행 등의 예상치인 2.7∼2.8%보다는 높지만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 이후, 4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또 중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제시했던 목표치(5.5%)에도 크게 못 미칩니다.

3월 말부터 두 달여 동안 경제 수도인 상하이시가 봉쇄됐고, 중국 GDP의 25% 정도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게 주된 원인입니다.

지난해 12월 방역을 확 풀었지만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반등 효과는 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캉이/중국 국가통계국 국장 : "국내 수요 위축, 공급 충격, 기대치 약세 전환의 '3중 압력'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국은 인구 감소라는 풀기 어려운 숙제까지 받아들게 됐습니다.

61년 만에 처음으로 총 인구가 감소한 건데, 지난해 출생과 사망 인구가 역전된 탓입니다.

지난해 출생률은 1천 명 당 6.77명으로 전년에 비해 더 떨어진 것은 물론이고,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49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이대로 가면 올해 말에 인도 인구가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그동안 생산과 소비 등 모든 면에서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온 인구라는 큰 동력이 점점 약해지는 상황입니다.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주석의 지도 체제는 오는 3월 공식 출범합니다.

새 지도부는 경제 살리기뿐만 아니라 출산 장려까지 성공해야 하는 험난한 시험대에 오르게 됐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랑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웅/그래픽제작:이경민/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난해 中 경제성장률 3.0%…인구도 61년 만에 첫 감소
    • 입력 2023-01-17 19:25:58
    • 수정2023-01-17 22:05:56
    뉴스 7
[앵커]

고강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해 왔던 중국이 지난해, 4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인구도 61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무엇을 의미하는지, 베이징 이랑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공장과 도시 곳곳이 봉쇄됐고, 고강도 방역에 지친 사람들은 방어벽을 부수고 밖으로 뛰쳐나왔습니다.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중국에서 불과 50여 일 전 벌어졌던 일입니다.

잦은 봉쇄로 인한 경제 타격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에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전년 대비 3.0% 증가에 그쳤는데 세계은행 등의 예상치인 2.7∼2.8%보다는 높지만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인 1976년 이후, 4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수치입니다.

또 중국 정부가 지난해 3월 제시했던 목표치(5.5%)에도 크게 못 미칩니다.

3월 말부터 두 달여 동안 경제 수도인 상하이시가 봉쇄됐고, 중국 GDP의 25% 정도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된 게 주된 원인입니다.

지난해 12월 방역을 확 풀었지만 감염자가 폭증하면서 반등 효과는 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캉이/중국 국가통계국 국장 : "국내 수요 위축, 공급 충격, 기대치 약세 전환의 '3중 압력'이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국은 인구 감소라는 풀기 어려운 숙제까지 받아들게 됐습니다.

61년 만에 처음으로 총 인구가 감소한 건데, 지난해 출생과 사망 인구가 역전된 탓입니다.

지난해 출생률은 1천 명 당 6.77명으로 전년에 비해 더 떨어진 것은 물론이고,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49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이대로 가면 올해 말에 인도 인구가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그동안 생산과 소비 등 모든 면에서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온 인구라는 큰 동력이 점점 약해지는 상황입니다.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주석의 지도 체제는 오는 3월 공식 출범합니다.

새 지도부는 경제 살리기뿐만 아니라 출산 장려까지 성공해야 하는 험난한 시험대에 오르게 됐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이랑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이웅/그래픽제작:이경민/자료조사:이지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