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귀농귀촌 3만 시대…“일자리 부족 여전”

입력 2023.01.31 (19:57) 수정 2023.01.31 (2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도가 연간 귀농·귀촌 인구 3만 명 시대에 접어든지 올해로 3년째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귀농 귀촌인들은 농촌에서의 삶이 아직도 생각과는 많이 다르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뭐가 제일 힘든지 임서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나무 판에 조각칼로 글자를 새깁니다.

칠순을 넘긴 김태기 씨의 주된 수입원입니다.

2005년 서울에서 횡성으로 이사를 왔습니다.

아들, 딸, 손주까지 다 데려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서울 생활을 완전히 정리하진 못했습니다.

조각작품을 팔려면 서울로 올라가야하기 때문입니다.

[김태기/귀촌인/횡성군 공근면 : "만족을 했으니까 이제 뭐 자식들도 불러왔고, 수입 관계 때문에 서울에 뭐 가끔 한 달에 한두 번, 뭐 두세 번 이렇게 갔다 왔다 할 일이 있고."]

젊은 귀촌인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은 더 큽니다.

농사 말고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힘듭니다.

결국,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창업으로 내몰리는 경우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실태조사에서도 농촌 정착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소득문제가 꼽혔습니다.

[김영우/귀촌인/창업 준비 : "농공단지랑 연계된 그런 일자리라든지 그런것만 위주로 돼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저랑은 많이 안 맞았고, 그러다보니 일자리를 찾는 데는 당연히 어려운 부분들이."]

귀농·귀촌 정책을 지금처럼 지역의 시각에서 인구 늘리기로 끌고 가는 게 아니라 귀농 귀촌인들의 입장에서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진기엽/횡성군귀농귀촌센터장 : "5년 동안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끔 하고, 이분들이 안정적으로 횡성에서 정착해서 아름답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무엇보다 굳이 농사가 아니더라도 농촌에서 먹고 살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 귀농귀촌 3만 시대…“일자리 부족 여전”
    • 입력 2023-01-31 19:57:46
    • 수정2023-01-31 20:25:45
    뉴스7(춘천)
[앵커]

강원도가 연간 귀농·귀촌 인구 3만 명 시대에 접어든지 올해로 3년째를 맞았습니다.

하지만, 귀농 귀촌인들은 농촌에서의 삶이 아직도 생각과는 많이 다르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뭐가 제일 힘든지 임서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나무 판에 조각칼로 글자를 새깁니다.

칠순을 넘긴 김태기 씨의 주된 수입원입니다.

2005년 서울에서 횡성으로 이사를 왔습니다.

아들, 딸, 손주까지 다 데려와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서울 생활을 완전히 정리하진 못했습니다.

조각작품을 팔려면 서울로 올라가야하기 때문입니다.

[김태기/귀촌인/횡성군 공근면 : "만족을 했으니까 이제 뭐 자식들도 불러왔고, 수입 관계 때문에 서울에 뭐 가끔 한 달에 한두 번, 뭐 두세 번 이렇게 갔다 왔다 할 일이 있고."]

젊은 귀촌인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은 더 큽니다.

농사 말고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기 힘듭니다.

결국,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창업으로 내몰리는 경우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귀농·귀촌 실태조사에서도 농촌 정착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소득문제가 꼽혔습니다.

[김영우/귀촌인/창업 준비 : "농공단지랑 연계된 그런 일자리라든지 그런것만 위주로 돼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저랑은 많이 안 맞았고, 그러다보니 일자리를 찾는 데는 당연히 어려운 부분들이."]

귀농·귀촌 정책을 지금처럼 지역의 시각에서 인구 늘리기로 끌고 가는 게 아니라 귀농 귀촌인들의 입장에서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쪽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진기엽/횡성군귀농귀촌센터장 : "5년 동안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끔 하고, 이분들이 안정적으로 횡성에서 정착해서 아름답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무엇보다 굳이 농사가 아니더라도 농촌에서 먹고 살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를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서영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