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설치된 서울광장 분향소…갈등 계속
입력 2023.02.08 (23:41)
수정 2023.02.09 (0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광장 분향소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가족 측은 서울시가 제대로 된 협의없이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제안했다며,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이고, 서울시는 유가족 측의 의사를 듣고 검토를 거쳐서 녹사평역 공간을 마련했다며 맞서고 있는건데요.
해법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광장에 두 번째 차려진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 이번엔 영정과 위패가 자리했습니다.
[김서진/서울시 강북구 : "딸 가진 입장에서 이건 말이 안 되는 거 같아요. 정부가 정말 유족들에게 좀 마음을 같이 함께했으면 좋겠어요."]
서울시는 유가족 등이 기습 설치한 분향소를 15일까지 철거해달라고 했습니다.
또 유가족들에게 추모 희망 공간을 제안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입니다.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추모공간을 불허한 뒤에야,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제안했다며 서울시와 소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미현/시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 : "제대로 된 소통이 없었고 협의가 없었는데 (서울시가) 언론 플레이하고 있는 거에 대해서 유가족들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고..."]
반면, 서울시는 지난해 말 유가족 측 의사를 듣고 관계기관 검토를 거쳐, 녹사평역을 추모공간으로 마련했단 입장입니다.
유가족 측과도 소통했고, 만남의 자리를 만들려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오신환/서울시 정무부시장/어제 : "서울교통공사와 또 많은 이해 관계인들과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협의하고 그 과정들을 논의해왔습니다. 그런 과정이 유가족 측에도 전달이 됐고..."]
양측 입장이 팽팽한 상황, 분향소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공간이 되기 위한 해법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김종선
서울광장 분향소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가족 측은 서울시가 제대로 된 협의없이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제안했다며,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이고, 서울시는 유가족 측의 의사를 듣고 검토를 거쳐서 녹사평역 공간을 마련했다며 맞서고 있는건데요.
해법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광장에 두 번째 차려진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 이번엔 영정과 위패가 자리했습니다.
[김서진/서울시 강북구 : "딸 가진 입장에서 이건 말이 안 되는 거 같아요. 정부가 정말 유족들에게 좀 마음을 같이 함께했으면 좋겠어요."]
서울시는 유가족 등이 기습 설치한 분향소를 15일까지 철거해달라고 했습니다.
또 유가족들에게 추모 희망 공간을 제안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입니다.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추모공간을 불허한 뒤에야,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제안했다며 서울시와 소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미현/시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 : "제대로 된 소통이 없었고 협의가 없었는데 (서울시가) 언론 플레이하고 있는 거에 대해서 유가족들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고..."]
반면, 서울시는 지난해 말 유가족 측 의사를 듣고 관계기관 검토를 거쳐, 녹사평역을 추모공간으로 마련했단 입장입니다.
유가족 측과도 소통했고, 만남의 자리를 만들려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오신환/서울시 정무부시장/어제 : "서울교통공사와 또 많은 이해 관계인들과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협의하고 그 과정들을 논의해왔습니다. 그런 과정이 유가족 측에도 전달이 됐고..."]
양측 입장이 팽팽한 상황, 분향소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공간이 되기 위한 해법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김종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두 번째 설치된 서울광장 분향소…갈등 계속
-
- 입력 2023-02-08 23:41:52
- 수정2023-02-09 00:00:02

[앵커]
서울광장 분향소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가족 측은 서울시가 제대로 된 협의없이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제안했다며,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이고, 서울시는 유가족 측의 의사를 듣고 검토를 거쳐서 녹사평역 공간을 마련했다며 맞서고 있는건데요.
해법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광장에 두 번째 차려진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 이번엔 영정과 위패가 자리했습니다.
[김서진/서울시 강북구 : "딸 가진 입장에서 이건 말이 안 되는 거 같아요. 정부가 정말 유족들에게 좀 마음을 같이 함께했으면 좋겠어요."]
서울시는 유가족 등이 기습 설치한 분향소를 15일까지 철거해달라고 했습니다.
또 유가족들에게 추모 희망 공간을 제안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입니다.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추모공간을 불허한 뒤에야,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제안했다며 서울시와 소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미현/시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 : "제대로 된 소통이 없었고 협의가 없었는데 (서울시가) 언론 플레이하고 있는 거에 대해서 유가족들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고..."]
반면, 서울시는 지난해 말 유가족 측 의사를 듣고 관계기관 검토를 거쳐, 녹사평역을 추모공간으로 마련했단 입장입니다.
유가족 측과도 소통했고, 만남의 자리를 만들려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오신환/서울시 정무부시장/어제 : "서울교통공사와 또 많은 이해 관계인들과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협의하고 그 과정들을 논의해왔습니다. 그런 과정이 유가족 측에도 전달이 됐고..."]
양측 입장이 팽팽한 상황, 분향소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공간이 되기 위한 해법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김종선
서울광장 분향소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유가족 측은 서울시가 제대로 된 협의없이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제안했다며,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이고, 서울시는 유가족 측의 의사를 듣고 검토를 거쳐서 녹사평역 공간을 마련했다며 맞서고 있는건데요.
해법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광장에 두 번째 차려진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 이번엔 영정과 위패가 자리했습니다.
[김서진/서울시 강북구 : "딸 가진 입장에서 이건 말이 안 되는 거 같아요. 정부가 정말 유족들에게 좀 마음을 같이 함께했으면 좋겠어요."]
서울시는 유가족 등이 기습 설치한 분향소를 15일까지 철거해달라고 했습니다.
또 유가족들에게 추모 희망 공간을 제안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유가족 측은 서울광장 분향소를 지키겠단 입장입니다.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추모공간을 불허한 뒤에야,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제안했다며 서울시와 소통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미현/시민대책회의 공동상황실장 : "제대로 된 소통이 없었고 협의가 없었는데 (서울시가) 언론 플레이하고 있는 거에 대해서 유가족들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고..."]
반면, 서울시는 지난해 말 유가족 측 의사를 듣고 관계기관 검토를 거쳐, 녹사평역을 추모공간으로 마련했단 입장입니다.
유가족 측과도 소통했고, 만남의 자리를 만들려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오신환/서울시 정무부시장/어제 : "서울교통공사와 또 많은 이해 관계인들과 (녹사평역 추모공간을) 협의하고 그 과정들을 논의해왔습니다. 그런 과정이 유가족 측에도 전달이 됐고..."]
양측 입장이 팽팽한 상황, 분향소가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 공간이 되기 위한 해법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촬영기자:조정석/영상편집:김종선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