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정책 방향 바뀌나?

입력 2023.02.15 (21:09) 수정 2023.02.15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대책이 왜 나왔나, 배경부터 짚어보죠?

[기자]

요즘 뉴스만 보면 가스비 얼마 나왔어요, 전기료 폭탄 맞았어요, 이런 소식입니다.

요금 부담이 큰 1월 고지서를 막 받아들었으니까요.

게다가 다른 공공 요금도 줄줄이 인상을 기다리고 있으니까 계절적 요인에, 연쇄 인상 계획까지 겹치면서 불만 여론이 너무 커졌고, 이게 부담이 됐다고 봐야 합니다.

[앵커]

정치적 상황관리의 필요성 때문이란 얘긴데, 물가정책 기조가 바뀝니까?

[기자]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에너지와 공공요금 인상은 밀린 숙제입니다.

미리 해야 했던 인상이란 과제를 미룬 셈이었니까요.

쉽게 말해 이왕 미룬 거 좀 더 미루자는 얘기입니다.

대통령실이 공공요금을 상반기는 동결한다고 설명했으니, 공공요금 현실화라는 기존 입장에서 물러선 건 맞지만, 정부가 예측하는 물가 추세는 달라진 게 없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숙제 미루니까, 당장 다음 달 이후 물가상승률 숫자는 좀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앵커]

민간 회사들도 대책 범위에 포함시킨 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오늘(15일) 대책에 포함된 회사들의 주가가 일제히 많이 떨어졌습니다.

반갑지 않은 초대라는 거죠.

정부로서도 이런 주문 하는 건 부담스럽지만, 통신사가 공짜로 데이터 더 쓰게 해준다고 하니 좋은 것이고,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우리는 이자 내느라 허덕이는데 은행들은 돈 많이 벌어 성과급 등에 펑펑 쓰냐 이런 불만이 많았거든요.

이걸 해소해 줄 수 있죠.

물가관리만큼이나 민심 달래기에도 효용성이 클 듯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정책 방향 바뀌나?
    • 입력 2023-02-15 21:09:45
    • 수정2023-02-15 22:06:53
    뉴스 9
[앵커]

이번 대책이 왜 나왔나, 배경부터 짚어보죠?

[기자]

요즘 뉴스만 보면 가스비 얼마 나왔어요, 전기료 폭탄 맞았어요, 이런 소식입니다.

요금 부담이 큰 1월 고지서를 막 받아들었으니까요.

게다가 다른 공공 요금도 줄줄이 인상을 기다리고 있으니까 계절적 요인에, 연쇄 인상 계획까지 겹치면서 불만 여론이 너무 커졌고, 이게 부담이 됐다고 봐야 합니다.

[앵커]

정치적 상황관리의 필요성 때문이란 얘긴데, 물가정책 기조가 바뀝니까?

[기자]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에너지와 공공요금 인상은 밀린 숙제입니다.

미리 해야 했던 인상이란 과제를 미룬 셈이었니까요.

쉽게 말해 이왕 미룬 거 좀 더 미루자는 얘기입니다.

대통령실이 공공요금을 상반기는 동결한다고 설명했으니, 공공요금 현실화라는 기존 입장에서 물러선 건 맞지만, 정부가 예측하는 물가 추세는 달라진 게 없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숙제 미루니까, 당장 다음 달 이후 물가상승률 숫자는 좀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앵커]

민간 회사들도 대책 범위에 포함시킨 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오늘(15일) 대책에 포함된 회사들의 주가가 일제히 많이 떨어졌습니다.

반갑지 않은 초대라는 거죠.

정부로서도 이런 주문 하는 건 부담스럽지만, 통신사가 공짜로 데이터 더 쓰게 해준다고 하니 좋은 것이고, 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우리는 이자 내느라 허덕이는데 은행들은 돈 많이 벌어 성과급 등에 펑펑 쓰냐 이런 불만이 많았거든요.

이걸 해소해 줄 수 있죠.

물가관리만큼이나 민심 달래기에도 효용성이 클 듯 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