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갈등의 7년 4개월, 2공항 여전히 ‘첩첩산중’

입력 2023.03.07 (19:03) 수정 2023.03.07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15년 국토부 발표 이후 7년 넘게 극심한 갈등이 이어졌던 제주 제2공항 건설 사업 절차가 재개됩니다.

그동안 제주 사회에 남긴 건 무엇인지, 앞으로 남은 절차는 어떤 게 있는지, 허지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2013년 천만 관광객 시대를 연 제주.

제주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공항 시설 확충은 도민 숙원 사업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기존의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개,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신공항 건설이 대안으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국토부는 2015년 11월, 성산읍에 두 번째 공항을 짓겠다는 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신공항 건설 대안을 제외해달라는 당시 원희룡 지사의 요구를 받아들여, 기존 공항 확장과 2공항 건설 2가지 대안만 분석한 결과입니다.

545만 제곱미터, 지금 제주공항보다 1.5배 넓은 제2공항 건설 사업이 시작된 배경입니다.

[김병종/한국항공대 교수/용역 책임자 : "풍향, 풍속, 안개 등 기상 조건에서도 신산 위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습니다.

우선 기존 공항 확장 방안을 연구한 세계적인 전문기관 ADPi의 용역을 은폐했다는 KBS의 보도 이후 2공항 입지 선정 과정이 부실했다는 논란이 이어졌습니다.

국토부는 타당성 재조사까지 한 이후에야 다음 절차를 밟을 수 있었는데, 이후에는 전략환경영향평가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그동안 2공항을 둘러싼 반대 여론도 높아졌고, 찬반 갈등도 격화됐습니다.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사실상 사업에 동의하면서 입지 발표 이후 7년 4개월 만에 절차를 재개하게 됐습니다.

국토부는 환경부 의견을 반영해 조만간 기본 계획을 고시할 예정입니다.

기본계획이 고시되면 2공항 사업은 법적 효력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기본계획을 고시하기 전에 제주도지사가 주민 의견을 수렴해 국토부에 의견을 제시하는 과정이 남아 있습니다.

또, 제주도 주관의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합니다.

반대 단체는 여전히 환경부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있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순정/제주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 "제주도민의 삶과 제주의 미래가 걸린 문제를 중앙 정부, 국토부와 환경부의 몇몇 관료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찬성 단체는 신속한 2공항 건설 추진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절차가 진행될수록 찬반 갈등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당장 도민 의견 수렴 과정부터 극심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찬반 갈등의 7년 4개월, 2공항 여전히 ‘첩첩산중’
    • 입력 2023-03-07 19:03:03
    • 수정2023-03-07 19:54:21
    뉴스7(제주)
[앵커]

2015년 국토부 발표 이후 7년 넘게 극심한 갈등이 이어졌던 제주 제2공항 건설 사업 절차가 재개됩니다.

그동안 제주 사회에 남긴 건 무엇인지, 앞으로 남은 절차는 어떤 게 있는지, 허지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2013년 천만 관광객 시대를 연 제주.

제주공항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공항 시설 확충은 도민 숙원 사업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기존의 제주공항을 폐쇄하고 활주로 2개,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신공항 건설이 대안으로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국토부는 2015년 11월, 성산읍에 두 번째 공항을 짓겠다는 제주 제2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신공항 건설 대안을 제외해달라는 당시 원희룡 지사의 요구를 받아들여, 기존 공항 확장과 2공항 건설 2가지 대안만 분석한 결과입니다.

545만 제곱미터, 지금 제주공항보다 1.5배 넓은 제2공항 건설 사업이 시작된 배경입니다.

[김병종/한국항공대 교수/용역 책임자 : "풍향, 풍속, 안개 등 기상 조건에서도 신산 위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사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습니다.

우선 기존 공항 확장 방안을 연구한 세계적인 전문기관 ADPi의 용역을 은폐했다는 KBS의 보도 이후 2공항 입지 선정 과정이 부실했다는 논란이 이어졌습니다.

국토부는 타당성 재조사까지 한 이후에야 다음 절차를 밟을 수 있었는데, 이후에는 전략환경영향평가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그동안 2공항을 둘러싼 반대 여론도 높아졌고, 찬반 갈등도 격화됐습니다.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황에서 환경부가 사실상 사업에 동의하면서 입지 발표 이후 7년 4개월 만에 절차를 재개하게 됐습니다.

국토부는 환경부 의견을 반영해 조만간 기본 계획을 고시할 예정입니다.

기본계획이 고시되면 2공항 사업은 법적 효력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기본계획을 고시하기 전에 제주도지사가 주민 의견을 수렴해 국토부에 의견을 제시하는 과정이 남아 있습니다.

또, 제주도 주관의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합니다.

반대 단체는 여전히 환경부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주민투표를 요구하고 있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순정/제주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 "제주도민의 삶과 제주의 미래가 걸린 문제를 중앙 정부, 국토부와 환경부의 몇몇 관료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찬성 단체는 신속한 2공항 건설 추진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절차가 진행될수록 찬반 갈등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당장 도민 의견 수렴 과정부터 극심한 진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