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소미아·구상권 추가 양보…한국, 뭘 얻었나?
입력 2023.03.16 (21:15)
수정 2023.04.10 (15: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회담 결과, 외교부 출입하는 김지선 기자와 좀 더 짚어봅니다.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에서 많이 양보했으니 이제 일본이 호응할 차례다, 이런 지적 많았는데 일본이 내놓은 건 뭔가요?
[기자]
사죄, 배상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일본 입장에서 더 나아간 부분이 없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직접 언급한 게, 그나마 추가로 나온 발언입니다.
하지만 곧이어 역대 내각 인식을 계승한다고 뭉뚱그렸습니다.
[앵커]
피해자들 배상 문제는 언급된 게 있습니까?
[기자]
기시다 총리가 직접 배상을 언급한 건 없습니다.
양국 정상이 미래 기금을 발표했는데 거기에 일본제철, 미쓰비시가 참여한다는 보장도 안 돼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건 뭔가요?
[기자]
강제동원 문제에서 구상권 청구 안 하겠다고 했고, 지소미아는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
일본 측이 원했던 걸 대부분 들어준 셈입니다.
반면, 우리가 얻은 건 셔틀외교 복원, 경제안보 대화 정도인데요.
이건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입니다.
따라서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것보다는 더 많은 걸 내주고 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한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공조 강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정부 구상대로 갈 수 있을까요?
[기자]
지지율에 지장 받더라도 한일 관계 풀겠다는 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한일 관계 정상화를 통한 한미일 공조 강화는 정부 구상대로 탄력을 받을 길이 열렸습니다.
관건은 국민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해 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강제동원 해법 발표 과정에서 피해자에 대한 충분한 설득,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습니다.
국민들의 반일 감정을 재점화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동력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정부에게 주어졌습니다.
[앵커]
일본 언론에서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건 기자회견에선 없었던 내용이거든요?
[기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6일) 주요 논의 주제는 강제동원 문제를 비롯해서 미래지향적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킬 방안들이었다, 이걸로 답변을 대신하겠다, 라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즉답을 피했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이 요청까지 했는지, 그렇다면 윤대통령은 뭐라고 답을 했는지 확인을 안해주고 있는 건데요.
일본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호응 조치를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위안부 합의까지 거론했다면 앞으로 파장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이번 회담 결과, 외교부 출입하는 김지선 기자와 좀 더 짚어봅니다.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에서 많이 양보했으니 이제 일본이 호응할 차례다, 이런 지적 많았는데 일본이 내놓은 건 뭔가요?
[기자]
사죄, 배상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일본 입장에서 더 나아간 부분이 없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직접 언급한 게, 그나마 추가로 나온 발언입니다.
하지만 곧이어 역대 내각 인식을 계승한다고 뭉뚱그렸습니다.
[앵커]
피해자들 배상 문제는 언급된 게 있습니까?
[기자]
기시다 총리가 직접 배상을 언급한 건 없습니다.
양국 정상이 미래 기금을 발표했는데 거기에 일본제철, 미쓰비시가 참여한다는 보장도 안 돼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건 뭔가요?
[기자]
강제동원 문제에서 구상권 청구 안 하겠다고 했고, 지소미아는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
일본 측이 원했던 걸 대부분 들어준 셈입니다.
반면, 우리가 얻은 건 셔틀외교 복원, 경제안보 대화 정도인데요.
이건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입니다.
따라서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것보다는 더 많은 걸 내주고 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한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공조 강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정부 구상대로 갈 수 있을까요?
[기자]
지지율에 지장 받더라도 한일 관계 풀겠다는 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한일 관계 정상화를 통한 한미일 공조 강화는 정부 구상대로 탄력을 받을 길이 열렸습니다.
관건은 국민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해 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강제동원 해법 발표 과정에서 피해자에 대한 충분한 설득,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습니다.
국민들의 반일 감정을 재점화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동력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정부에게 주어졌습니다.
[앵커]
일본 언론에서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건 기자회견에선 없었던 내용이거든요?
[기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6일) 주요 논의 주제는 강제동원 문제를 비롯해서 미래지향적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킬 방안들이었다, 이걸로 답변을 대신하겠다, 라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즉답을 피했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이 요청까지 했는지, 그렇다면 윤대통령은 뭐라고 답을 했는지 확인을 안해주고 있는 건데요.
일본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호응 조치를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위안부 합의까지 거론했다면 앞으로 파장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소미아·구상권 추가 양보…한국, 뭘 얻었나?
-
- 입력 2023-03-16 21:15:54
- 수정2023-04-10 15:34:14
[앵커]
이번 회담 결과, 외교부 출입하는 김지선 기자와 좀 더 짚어봅니다.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에서 많이 양보했으니 이제 일본이 호응할 차례다, 이런 지적 많았는데 일본이 내놓은 건 뭔가요?
[기자]
사죄, 배상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일본 입장에서 더 나아간 부분이 없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직접 언급한 게, 그나마 추가로 나온 발언입니다.
하지만 곧이어 역대 내각 인식을 계승한다고 뭉뚱그렸습니다.
[앵커]
피해자들 배상 문제는 언급된 게 있습니까?
[기자]
기시다 총리가 직접 배상을 언급한 건 없습니다.
양국 정상이 미래 기금을 발표했는데 거기에 일본제철, 미쓰비시가 참여한다는 보장도 안 돼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건 뭔가요?
[기자]
강제동원 문제에서 구상권 청구 안 하겠다고 했고, 지소미아는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
일본 측이 원했던 걸 대부분 들어준 셈입니다.
반면, 우리가 얻은 건 셔틀외교 복원, 경제안보 대화 정도인데요.
이건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입니다.
따라서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것보다는 더 많은 걸 내주고 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한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공조 강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정부 구상대로 갈 수 있을까요?
[기자]
지지율에 지장 받더라도 한일 관계 풀겠다는 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한일 관계 정상화를 통한 한미일 공조 강화는 정부 구상대로 탄력을 받을 길이 열렸습니다.
관건은 국민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해 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강제동원 해법 발표 과정에서 피해자에 대한 충분한 설득,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습니다.
국민들의 반일 감정을 재점화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동력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정부에게 주어졌습니다.
[앵커]
일본 언론에서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건 기자회견에선 없었던 내용이거든요?
[기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6일) 주요 논의 주제는 강제동원 문제를 비롯해서 미래지향적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킬 방안들이었다, 이걸로 답변을 대신하겠다, 라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즉답을 피했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이 요청까지 했는지, 그렇다면 윤대통령은 뭐라고 답을 했는지 확인을 안해주고 있는 건데요.
일본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호응 조치를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위안부 합의까지 거론했다면 앞으로 파장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이번 회담 결과, 외교부 출입하는 김지선 기자와 좀 더 짚어봅니다.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에서 많이 양보했으니 이제 일본이 호응할 차례다, 이런 지적 많았는데 일본이 내놓은 건 뭔가요?
[기자]
사죄, 배상 문제에 있어서 기존의 일본 입장에서 더 나아간 부분이 없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1998년 한일 공동선언을 직접 언급한 게, 그나마 추가로 나온 발언입니다.
하지만 곧이어 역대 내각 인식을 계승한다고 뭉뚱그렸습니다.
[앵커]
피해자들 배상 문제는 언급된 게 있습니까?
[기자]
기시다 총리가 직접 배상을 언급한 건 없습니다.
양국 정상이 미래 기금을 발표했는데 거기에 일본제철, 미쓰비시가 참여한다는 보장도 안 돼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건 뭔가요?
[기자]
강제동원 문제에서 구상권 청구 안 하겠다고 했고, 지소미아는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
일본 측이 원했던 걸 대부분 들어준 셈입니다.
반면, 우리가 얻은 건 셔틀외교 복원, 경제안보 대화 정도인데요.
이건 한일 양국의 공동 이익입니다.
따라서 이번 방일에서 우리가 얻은 것보다는 더 많은 걸 내주고 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한일 관계 개선과 한미일 공조 강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정부 구상대로 갈 수 있을까요?
[기자]
지지율에 지장 받더라도 한일 관계 풀겠다는 윤 대통령의 강한 의지로 추진되고 있는데요.
한일 관계 정상화를 통한 한미일 공조 강화는 정부 구상대로 탄력을 받을 길이 열렸습니다.
관건은 국민 여론이 얼마나 뒷받침해 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강제동원 해법 발표 과정에서 피해자에 대한 충분한 설득,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습니다.
국민들의 반일 감정을 재점화했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동력을 모색해야 하는 과제가 정부에게 주어졌습니다.
[앵커]
일본 언론에서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이건 기자회견에선 없었던 내용이거든요?
[기자]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16일) 주요 논의 주제는 강제동원 문제를 비롯해서 미래지향적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킬 방안들이었다, 이걸로 답변을 대신하겠다, 라면서 관련 내용에 대한 즉답을 피했습니다.
기시다 총리가 이 요청까지 했는지, 그렇다면 윤대통령은 뭐라고 답을 했는지 확인을 안해주고 있는 건데요.
일본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호응 조치를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위안부 합의까지 거론했다면 앞으로 파장이 더 커질 수도 있습니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12년만 한일 정상회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