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 못 뜨면 속수무책…“임도 확 늘리겠다”
입력 2023.04.16 (06:57)
수정 2023.04.16 (07: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산불을 끌 때 산불 진화 헬기는 필수죠.
하지만 이번 강릉 산불 때처럼 바람이 아주 강하게 불면 헬기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밤 시간대나 연기가 많을 때도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헬기가 뜰 수 없는 상황에서 지상 진화를 하도록 대책이 필요한데요.
소방차나 산불 진압차가 진입할 수 있는 임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흘 동안 축구장 천 개 규모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임도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의 피해는 차이가 있습니다.
임도가 끊긴 1차 확산 구역은 험한 산세에 진화대 투입이 어려워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고중필/대전 서구 공원녹지과장 : "진화 장비와 인력을 태워서 임도로 들어갔는데 더 이상 못 가다 보니까, 거기서 더 이상은 저희가 끌 수가 없다 보니까 많이 안타까웠죠. 임도의 끝에서부터."]
반면 임도가 닦여 있던 2차 확산 구역은 불길이 넘어오는 위기에도 임도가 방화선 역할을 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경남 합천군 산불에서도 임도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강풍과 연기로 진화율이 10%밖에 안 되는 상황이었지만 헬기가 못 뜨는 야간에 임도를 활용해 불을 껐습니다.
임도는 산불 확산 방지뿐 아니라 숲을 가꾸고 임산물을 수송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국내 설치율은 아직도 낮은 편입니다.
우리나라 산림 1헥타르당 설치된 임도는 3.97m로, 산림 경영 선진국인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와 비교했을 때 14배 차이가 납니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 봐도 1/6 수준입니다.
지자체들도 임도 확충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신용현/대전시 환경녹지국장 : "산불 진화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임도를 주요 산들을 기준으로 현황을 파악해서 확충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산불 진화를 목적으로 설치한 '산불진화임도'는 현재 국유림에만 330km가량 설치된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를 해마다 500km 이상씩 늘려 2027년까지 3,000km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산불을 끌 때 산불 진화 헬기는 필수죠.
하지만 이번 강릉 산불 때처럼 바람이 아주 강하게 불면 헬기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밤 시간대나 연기가 많을 때도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헬기가 뜰 수 없는 상황에서 지상 진화를 하도록 대책이 필요한데요.
소방차나 산불 진압차가 진입할 수 있는 임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흘 동안 축구장 천 개 규모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임도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의 피해는 차이가 있습니다.
임도가 끊긴 1차 확산 구역은 험한 산세에 진화대 투입이 어려워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고중필/대전 서구 공원녹지과장 : "진화 장비와 인력을 태워서 임도로 들어갔는데 더 이상 못 가다 보니까, 거기서 더 이상은 저희가 끌 수가 없다 보니까 많이 안타까웠죠. 임도의 끝에서부터."]
반면 임도가 닦여 있던 2차 확산 구역은 불길이 넘어오는 위기에도 임도가 방화선 역할을 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경남 합천군 산불에서도 임도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강풍과 연기로 진화율이 10%밖에 안 되는 상황이었지만 헬기가 못 뜨는 야간에 임도를 활용해 불을 껐습니다.
임도는 산불 확산 방지뿐 아니라 숲을 가꾸고 임산물을 수송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국내 설치율은 아직도 낮은 편입니다.
우리나라 산림 1헥타르당 설치된 임도는 3.97m로, 산림 경영 선진국인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와 비교했을 때 14배 차이가 납니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 봐도 1/6 수준입니다.
지자체들도 임도 확충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신용현/대전시 환경녹지국장 : "산불 진화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임도를 주요 산들을 기준으로 현황을 파악해서 확충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산불 진화를 목적으로 설치한 '산불진화임도'는 현재 국유림에만 330km가량 설치된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를 해마다 500km 이상씩 늘려 2027년까지 3,000km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헬기 못 뜨면 속수무책…“임도 확 늘리겠다”
-
- 입력 2023-04-16 06:57:47
- 수정2023-04-16 07:05:37
[앵커]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산불을 끌 때 산불 진화 헬기는 필수죠.
하지만 이번 강릉 산불 때처럼 바람이 아주 강하게 불면 헬기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밤 시간대나 연기가 많을 때도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헬기가 뜰 수 없는 상황에서 지상 진화를 하도록 대책이 필요한데요.
소방차나 산불 진압차가 진입할 수 있는 임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흘 동안 축구장 천 개 규모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임도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의 피해는 차이가 있습니다.
임도가 끊긴 1차 확산 구역은 험한 산세에 진화대 투입이 어려워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고중필/대전 서구 공원녹지과장 : "진화 장비와 인력을 태워서 임도로 들어갔는데 더 이상 못 가다 보니까, 거기서 더 이상은 저희가 끌 수가 없다 보니까 많이 안타까웠죠. 임도의 끝에서부터."]
반면 임도가 닦여 있던 2차 확산 구역은 불길이 넘어오는 위기에도 임도가 방화선 역할을 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경남 합천군 산불에서도 임도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강풍과 연기로 진화율이 10%밖에 안 되는 상황이었지만 헬기가 못 뜨는 야간에 임도를 활용해 불을 껐습니다.
임도는 산불 확산 방지뿐 아니라 숲을 가꾸고 임산물을 수송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국내 설치율은 아직도 낮은 편입니다.
우리나라 산림 1헥타르당 설치된 임도는 3.97m로, 산림 경영 선진국인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와 비교했을 때 14배 차이가 납니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 봐도 1/6 수준입니다.
지자체들도 임도 확충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신용현/대전시 환경녹지국장 : "산불 진화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임도를 주요 산들을 기준으로 현황을 파악해서 확충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산불 진화를 목적으로 설치한 '산불진화임도'는 현재 국유림에만 330km가량 설치된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를 해마다 500km 이상씩 늘려 2027년까지 3,000km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재난방송센터 시작하겠습니다.
산불을 끌 때 산불 진화 헬기는 필수죠.
하지만 이번 강릉 산불 때처럼 바람이 아주 강하게 불면 헬기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밤 시간대나 연기가 많을 때도 마찬가집니다.
그래서 헬기가 뜰 수 없는 상황에서 지상 진화를 하도록 대책이 필요한데요.
소방차나 산불 진압차가 진입할 수 있는 임도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사흘 동안 축구장 천 개 규모의 산림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더 들여다보면 임도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의 피해는 차이가 있습니다.
임도가 끊긴 1차 확산 구역은 험한 산세에 진화대 투입이 어려워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고중필/대전 서구 공원녹지과장 : "진화 장비와 인력을 태워서 임도로 들어갔는데 더 이상 못 가다 보니까, 거기서 더 이상은 저희가 끌 수가 없다 보니까 많이 안타까웠죠. 임도의 끝에서부터."]
반면 임도가 닦여 있던 2차 확산 구역은 불길이 넘어오는 위기에도 임도가 방화선 역할을 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경남 합천군 산불에서도 임도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강풍과 연기로 진화율이 10%밖에 안 되는 상황이었지만 헬기가 못 뜨는 야간에 임도를 활용해 불을 껐습니다.
임도는 산불 확산 방지뿐 아니라 숲을 가꾸고 임산물을 수송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국내 설치율은 아직도 낮은 편입니다.
우리나라 산림 1헥타르당 설치된 임도는 3.97m로, 산림 경영 선진국인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와 비교했을 때 14배 차이가 납니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 봐도 1/6 수준입니다.
지자체들도 임도 확충을 적극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신용현/대전시 환경녹지국장 : "산불 진화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임도를 주요 산들을 기준으로 현황을 파악해서 확충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산불 진화를 목적으로 설치한 '산불진화임도'는 현재 국유림에만 330km가량 설치된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를 해마다 500km 이상씩 늘려 2027년까지 3,000km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
-
윤양균 기자 ykyoon@kbs.co.kr
윤양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봄철 전국 곳곳 산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