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정신 계승”…129주년 기념식 열려
입력 2023.05.11 (19:19)
수정 2023.05.11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29주년을 맞은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이 오늘 정읍에서 열렸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김현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가 뜻을 모아 정의의 깃발을 들어 보국안민을 위해 움직인 것이니 후회는 없다."]
1894년 부패한 관리와 외세 침략에 맞서 농민을 중심으로 봉기한 동학농민혁명.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바란 그들의 꿈은 1년여 만에 끝났지만, 그 정신은 항일운동과 민주화 물결로 이어지며 나라의 기틀이 됐습니다.
[정성현/정읍 신태인중학교 2학년 : "프랑스 혁명처럼 백성들이 나서서 혁명을 일으킨 거기 때문에 자랑스럽다고 생각했어요."]
129년 전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이룬 최초의 승리를 기억하고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기념식.
자유와 평등을 외쳤던 세계 혁명 도시 6곳이 뜻을 함께하며 세계사적 위상을 더했습니다.
[디어드레 포드/아일랜드 코크시장 : "많이 갖지 못한 사람들이 들고일어나서 당시 굉장한 권력을 가진 정부를 상대로 싸운 것이기 때문에 더 감동적인 혁명입니다."]
2004년 특별법이 제정된 뒤 혁명 참여자 3천 7백여 명과 유족 만 2천여 명이 명예를 회복했고, 4년 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 발굴과 조사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앞으로 과제는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살리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포함하고, 교과서 표기를 운동에서 혁명으로 바꾸는 것 등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129주년을 맞은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이 오늘 정읍에서 열렸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김현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가 뜻을 모아 정의의 깃발을 들어 보국안민을 위해 움직인 것이니 후회는 없다."]
1894년 부패한 관리와 외세 침략에 맞서 농민을 중심으로 봉기한 동학농민혁명.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바란 그들의 꿈은 1년여 만에 끝났지만, 그 정신은 항일운동과 민주화 물결로 이어지며 나라의 기틀이 됐습니다.
[정성현/정읍 신태인중학교 2학년 : "프랑스 혁명처럼 백성들이 나서서 혁명을 일으킨 거기 때문에 자랑스럽다고 생각했어요."]
129년 전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이룬 최초의 승리를 기억하고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기념식.
자유와 평등을 외쳤던 세계 혁명 도시 6곳이 뜻을 함께하며 세계사적 위상을 더했습니다.
[디어드레 포드/아일랜드 코크시장 : "많이 갖지 못한 사람들이 들고일어나서 당시 굉장한 권력을 가진 정부를 상대로 싸운 것이기 때문에 더 감동적인 혁명입니다."]
2004년 특별법이 제정된 뒤 혁명 참여자 3천 7백여 명과 유족 만 2천여 명이 명예를 회복했고, 4년 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 발굴과 조사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앞으로 과제는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살리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포함하고, 교과서 표기를 운동에서 혁명으로 바꾸는 것 등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학농민혁명 정신 계승”…129주년 기념식 열려
-
- 입력 2023-05-11 19:19:43
- 수정2023-05-11 19:42:33

[앵커]
129주년을 맞은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이 오늘 정읍에서 열렸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김현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가 뜻을 모아 정의의 깃발을 들어 보국안민을 위해 움직인 것이니 후회는 없다."]
1894년 부패한 관리와 외세 침략에 맞서 농민을 중심으로 봉기한 동학농민혁명.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바란 그들의 꿈은 1년여 만에 끝났지만, 그 정신은 항일운동과 민주화 물결로 이어지며 나라의 기틀이 됐습니다.
[정성현/정읍 신태인중학교 2학년 : "프랑스 혁명처럼 백성들이 나서서 혁명을 일으킨 거기 때문에 자랑스럽다고 생각했어요."]
129년 전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이룬 최초의 승리를 기억하고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기념식.
자유와 평등을 외쳤던 세계 혁명 도시 6곳이 뜻을 함께하며 세계사적 위상을 더했습니다.
[디어드레 포드/아일랜드 코크시장 : "많이 갖지 못한 사람들이 들고일어나서 당시 굉장한 권력을 가진 정부를 상대로 싸운 것이기 때문에 더 감동적인 혁명입니다."]
2004년 특별법이 제정된 뒤 혁명 참여자 3천 7백여 명과 유족 만 2천여 명이 명예를 회복했고, 4년 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 발굴과 조사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앞으로 과제는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살리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포함하고, 교과서 표기를 운동에서 혁명으로 바꾸는 것 등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129주년을 맞은 동학농민혁명 기념식이 오늘 정읍에서 열렸습니다.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기억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의미를 되새겼습니다.
김현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가 뜻을 모아 정의의 깃발을 들어 보국안민을 위해 움직인 것이니 후회는 없다."]
1894년 부패한 관리와 외세 침략에 맞서 농민을 중심으로 봉기한 동학농민혁명.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바란 그들의 꿈은 1년여 만에 끝났지만, 그 정신은 항일운동과 민주화 물결로 이어지며 나라의 기틀이 됐습니다.
[정성현/정읍 신태인중학교 2학년 : "프랑스 혁명처럼 백성들이 나서서 혁명을 일으킨 거기 때문에 자랑스럽다고 생각했어요."]
129년 전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이룬 최초의 승리를 기억하고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기념식.
자유와 평등을 외쳤던 세계 혁명 도시 6곳이 뜻을 함께하며 세계사적 위상을 더했습니다.
[디어드레 포드/아일랜드 코크시장 : "많이 갖지 못한 사람들이 들고일어나서 당시 굉장한 권력을 가진 정부를 상대로 싸운 것이기 때문에 더 감동적인 혁명입니다."]
2004년 특별법이 제정된 뒤 혁명 참여자 3천 7백여 명과 유족 만 2천여 명이 명예를 회복했고, 4년 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습니다.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 발굴과 조사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신순철/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앞으로 과제는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살리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포함하고, 교과서 표기를 운동에서 혁명으로 바꾸는 것 등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
KBS 뉴스 김현주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
김현주 기자 thisweek@kbs.co.kr
김현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