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한·일·미 회담이었다
입력 2005.08.26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또 이번에 공개된 문서를 보면 미국이 한일회담에 적극 개입해 사실상 한미일 3국회담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윤 상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역할은 사실상 1951년 한일회담의 시작부터입니다.
한국전쟁 와중에도 불구하고 한일회담이 개시된 것도 미국 중재였으며 일본의 역청구권 주장으로 수렁에 빠진 회담의 돌파구를 연 것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해석에 관한 미 국무성의 각서였습니다.
미국의 개입은 6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표출됩니다.
62년 박정희 국가재건 최고회의 의장이 케네디 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은 미국이 한일교섭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잘 나타냅니다.
어업문제로 지체되면 안 된다, 타결은 빠를수록 좋다는 미국 정부의 견해가 잇따라 우리 정부에 전달됩니다.
64년 미국은 조기 타결이 어려울 경우 한국 내에 일본대표부를 설치해 사실상 수교 관계를 긴밀화할 것을 우리측에 주문하기까지 합니다.
당시 청와대는 회담의 중심점이 워싱턴으로 옮겨갔으며 일본이 미국을 끌어들이려하고 있다고 분석할 정도였습니다.
⊙이원덕(국민대 교수): 미국이 끊임없이 한일간을 봉합시켜서 어떻게든 타결시키도록 그 배후에서 또는 표면적으로 상당히 압력을 가해왔고...
⊙기자: 전문가들은 60년대 중국의 핵실험 성공과 베트남전으로 동아시아 반공전선에 구축이 시급해진 점과 한국 경제지원을 일본과 분담하려는 의도가 미국에 깊숙한 개입을 불러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뉴스 윤 상입니다.
윤 상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역할은 사실상 1951년 한일회담의 시작부터입니다.
한국전쟁 와중에도 불구하고 한일회담이 개시된 것도 미국 중재였으며 일본의 역청구권 주장으로 수렁에 빠진 회담의 돌파구를 연 것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해석에 관한 미 국무성의 각서였습니다.
미국의 개입은 6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표출됩니다.
62년 박정희 국가재건 최고회의 의장이 케네디 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은 미국이 한일교섭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잘 나타냅니다.
어업문제로 지체되면 안 된다, 타결은 빠를수록 좋다는 미국 정부의 견해가 잇따라 우리 정부에 전달됩니다.
64년 미국은 조기 타결이 어려울 경우 한국 내에 일본대표부를 설치해 사실상 수교 관계를 긴밀화할 것을 우리측에 주문하기까지 합니다.
당시 청와대는 회담의 중심점이 워싱턴으로 옮겨갔으며 일본이 미국을 끌어들이려하고 있다고 분석할 정도였습니다.
⊙이원덕(국민대 교수): 미국이 끊임없이 한일간을 봉합시켜서 어떻게든 타결시키도록 그 배후에서 또는 표면적으로 상당히 압력을 가해왔고...
⊙기자: 전문가들은 60년대 중국의 핵실험 성공과 베트남전으로 동아시아 반공전선에 구축이 시급해진 점과 한국 경제지원을 일본과 분담하려는 의도가 미국에 깊숙한 개입을 불러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뉴스 윤 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실상 한·일·미 회담이었다
-
- 입력 2005-08-26 21:04:13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또 이번에 공개된 문서를 보면 미국이 한일회담에 적극 개입해 사실상 한미일 3국회담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윤 상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역할은 사실상 1951년 한일회담의 시작부터입니다.
한국전쟁 와중에도 불구하고 한일회담이 개시된 것도 미국 중재였으며 일본의 역청구권 주장으로 수렁에 빠진 회담의 돌파구를 연 것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해석에 관한 미 국무성의 각서였습니다.
미국의 개입은 6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표출됩니다.
62년 박정희 국가재건 최고회의 의장이 케네디 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은 미국이 한일교섭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잘 나타냅니다.
어업문제로 지체되면 안 된다, 타결은 빠를수록 좋다는 미국 정부의 견해가 잇따라 우리 정부에 전달됩니다.
64년 미국은 조기 타결이 어려울 경우 한국 내에 일본대표부를 설치해 사실상 수교 관계를 긴밀화할 것을 우리측에 주문하기까지 합니다.
당시 청와대는 회담의 중심점이 워싱턴으로 옮겨갔으며 일본이 미국을 끌어들이려하고 있다고 분석할 정도였습니다.
⊙이원덕(국민대 교수): 미국이 끊임없이 한일간을 봉합시켜서 어떻게든 타결시키도록 그 배후에서 또는 표면적으로 상당히 압력을 가해왔고...
⊙기자: 전문가들은 60년대 중국의 핵실험 성공과 베트남전으로 동아시아 반공전선에 구축이 시급해진 점과 한국 경제지원을 일본과 분담하려는 의도가 미국에 깊숙한 개입을 불러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뉴스 윤 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