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유가족 “정보경찰의 증거 은폐 행위 강력히 처벌해야”
입력 2023.05.22 (14:24)
수정 2023.05.22 (15: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위험 분석 보고서' 삭제 혐의로 기소된 경찰 간부들에 대한 엄벌을 촉구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오늘(22일)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 등의 첫 재판이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이 핼러윈 축제 전 작성된 위험 분석 보고서를 삭제한 것은 분명히 밝혀진 사실"이라며 "이러한 기록 삭제 행위는 진상을 은폐하려는 행위"라고 밝혔습니다.
협의회는 "해당 보고서는 책임자들이 사전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진상 규명에 너무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참사의 책임자로서 진상 규명에 협조하고, 모든 관련 자료를 보존해야 할 경찰이 오히려 기록을 삭제하고 그 행위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소된 정보경찰 세 명 중 간부 두 명은 재판 과정에서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법원에 강력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성민 전 부장 등은 이태원 참사 이후 용산경찰서 정보관이 작성한 보고서 등을 삭제하도록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오늘(22일)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 등의 첫 재판이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이 핼러윈 축제 전 작성된 위험 분석 보고서를 삭제한 것은 분명히 밝혀진 사실"이라며 "이러한 기록 삭제 행위는 진상을 은폐하려는 행위"라고 밝혔습니다.
협의회는 "해당 보고서는 책임자들이 사전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진상 규명에 너무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참사의 책임자로서 진상 규명에 협조하고, 모든 관련 자료를 보존해야 할 경찰이 오히려 기록을 삭제하고 그 행위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소된 정보경찰 세 명 중 간부 두 명은 재판 과정에서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법원에 강력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성민 전 부장 등은 이태원 참사 이후 용산경찰서 정보관이 작성한 보고서 등을 삭제하도록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참사 유가족 “정보경찰의 증거 은폐 행위 강력히 처벌해야”
-
- 입력 2023-05-22 14:24:04
- 수정2023-05-22 15:05:44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위험 분석 보고서' 삭제 혐의로 기소된 경찰 간부들에 대한 엄벌을 촉구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오늘(22일)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 등의 첫 재판이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이 핼러윈 축제 전 작성된 위험 분석 보고서를 삭제한 것은 분명히 밝혀진 사실"이라며 "이러한 기록 삭제 행위는 진상을 은폐하려는 행위"라고 밝혔습니다.
협의회는 "해당 보고서는 책임자들이 사전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진상 규명에 너무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참사의 책임자로서 진상 규명에 협조하고, 모든 관련 자료를 보존해야 할 경찰이 오히려 기록을 삭제하고 그 행위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소된 정보경찰 세 명 중 간부 두 명은 재판 과정에서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법원에 강력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성민 전 부장 등은 이태원 참사 이후 용산경찰서 정보관이 작성한 보고서 등을 삭제하도록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오늘(22일)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 등의 첫 재판이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이 핼러윈 축제 전 작성된 위험 분석 보고서를 삭제한 것은 분명히 밝혀진 사실"이라며 "이러한 기록 삭제 행위는 진상을 은폐하려는 행위"라고 밝혔습니다.
협의회는 "해당 보고서는 책임자들이 사전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진상 규명에 너무나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참사의 책임자로서 진상 규명에 협조하고, 모든 관련 자료를 보존해야 할 경찰이 오히려 기록을 삭제하고 그 행위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소된 정보경찰 세 명 중 간부 두 명은 재판 과정에서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법원에 강력한 처벌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성민 전 부장 등은 이태원 참사 이후 용산경찰서 정보관이 작성한 보고서 등을 삭제하도록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
-
최인영 기자 inyoung@kbs.co.kr
최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태원 참사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