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각 카이스트…향후 인공위성 교신은?

입력 2023.05.25 (19:05) 수정 2023.05.25 (2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남은 과제는 누리호에 실린 8개의 실용 위성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입니다.

실용 위성들은 조금 전 목표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위성들과 첫 교신을 준비 중인 카이스트 인공위성 연구소에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한솔 기자, 그곳에서 위성과의 교신 준비가 이뤄지고 있죠?

[리포트]

네, 누리호가 발사되고 약 13분 후부터 8개 위성이 차례대로 분리됐는데요.

이곳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는 분리된 위성과 첫 교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발사 30분 만인 조금 전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비콘 신호 수신'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세종기지가 비콘 신호를 받는데 성공하면 대전 카이스트 지상국은 잠시 뒤 8시쯤 첫 교신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교신을 통해 위성의 위치나 각도를 조정하고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는데요.

비슷한 시각, 대전 천문연구원에서도 궤도에 안착한 다른 위성 중 하나인 도요샛 4기와의 비콘 신호 수신을 시도합니다.

다만 대전 지상국과의 수신 각도 문제로 첫 시도에서 성공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요,

내일 새벽 2시부터 이탈리아와 영국, 스페인에 이어 천문연 지상국에서 순차적으로 교신에 나설 예정입니다.

3개의 큐브위성을 만든 민간기업들도 내일 새벽, 각각 교신을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잠시 뒤 8시쯤, 위성들과의 초기 교신 결과를 발표하고, 내일(25일) 오전 11시쯤, 최종 성공 여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누리호에 실린 위성 8기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지구를 하루 15바퀴씩 돌며 해수면과 산림 등 기후와 생태변화를 관측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 천문연의 도요샛 4기는 편대비행을 하며 우주 날씨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8개 위성이 교신을 마치면 누리호 3차 발사는 최종 성공으로, 대한민국이 세계 7번째 우주 강국임을 거듭 증명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서 KBS 뉴스 한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 시각 카이스트…향후 인공위성 교신은?
    • 입력 2023-05-25 19:05:50
    • 수정2023-05-25 20:00:59
    뉴스7(대전)
[앵커]

이제 남은 과제는 누리호에 실린 8개의 실용 위성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입니다.

실용 위성들은 조금 전 목표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위성들과 첫 교신을 준비 중인 카이스트 인공위성 연구소에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한솔 기자, 그곳에서 위성과의 교신 준비가 이뤄지고 있죠?

[리포트]

네, 누리호가 발사되고 약 13분 후부터 8개 위성이 차례대로 분리됐는데요.

이곳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는 분리된 위성과 첫 교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발사 30분 만인 조금 전 남극 세종기지에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비콘 신호 수신'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세종기지가 비콘 신호를 받는데 성공하면 대전 카이스트 지상국은 잠시 뒤 8시쯤 첫 교신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교신을 통해 위성의 위치나 각도를 조정하고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는데요.

비슷한 시각, 대전 천문연구원에서도 궤도에 안착한 다른 위성 중 하나인 도요샛 4기와의 비콘 신호 수신을 시도합니다.

다만 대전 지상국과의 수신 각도 문제로 첫 시도에서 성공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요,

내일 새벽 2시부터 이탈리아와 영국, 스페인에 이어 천문연 지상국에서 순차적으로 교신에 나설 예정입니다.

3개의 큐브위성을 만든 민간기업들도 내일 새벽, 각각 교신을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잠시 뒤 8시쯤, 위성들과의 초기 교신 결과를 발표하고, 내일(25일) 오전 11시쯤, 최종 성공 여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누리호에 실린 위성 8기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지구를 하루 15바퀴씩 돌며 해수면과 산림 등 기후와 생태변화를 관측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 천문연의 도요샛 4기는 편대비행을 하며 우주 날씨를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8개 위성이 교신을 마치면 누리호 3차 발사는 최종 성공으로, 대한민국이 세계 7번째 우주 강국임을 거듭 증명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에서 KBS 뉴스 한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