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공유수면 매립 적발…폐기물 투기 의혹도
입력 2023.06.15 (07:36)
수정 2023.06.15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섬에서 공사업체를 운영하는 주민이 10년 넘게 공유수면을 몰래 메워 작업장으로 쓴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폐기물을 규정대로 처리하지 않고 공유수면에 묻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안 관광 명소인 위도해수욕장 끝자락에 흙더미와 건설 자재가 보입니다.
가까이 가니 굴삭기가 쌓인 흙을 퍼 올려 화물차에 싣습니다.
불법으로 공유수면을 매립했다가 들키자 원래대로 돌려놓는 겁니다.
섬에 살면서 수도 공사를 해온 한 주민이 벌인 일인데, 인근 주민은 오래전부터 이어진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차근차근해서 지금까지 자기 건설업 작업장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거요. 공무원들이 알고도 지금 여기 와서 그냥 1년 동안 근무하다가 가버리니까."]
부안군이 확인한 불법 매립 면적은 590제곱미터.
10여 년 전부터 공유수면을 조금씩 메워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변상금 부과에 앞서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 해경에 고발도 했습니다.
허가 없이 공유수면을 매립하다가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형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안군은 또 공유수면 불법 매립 현장에 폐기물이 있었던 만큼 투기 여부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해당 주민은 무허가 공유수면 매립을 인정했지만, 폐기물을 넣지는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공유수면 불법 매립 주민 : "폐기물은 전혀 넣지 않았어요. 우리가 다 수거해서 따로 거기다 빼요."]
부안군은 위도에 굴삭기를 들여와 불법으로 메운 공유수면에 폐기물이 묻혀있는지 들여다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섬에서 공사업체를 운영하는 주민이 10년 넘게 공유수면을 몰래 메워 작업장으로 쓴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폐기물을 규정대로 처리하지 않고 공유수면에 묻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안 관광 명소인 위도해수욕장 끝자락에 흙더미와 건설 자재가 보입니다.
가까이 가니 굴삭기가 쌓인 흙을 퍼 올려 화물차에 싣습니다.
불법으로 공유수면을 매립했다가 들키자 원래대로 돌려놓는 겁니다.
섬에 살면서 수도 공사를 해온 한 주민이 벌인 일인데, 인근 주민은 오래전부터 이어진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차근차근해서 지금까지 자기 건설업 작업장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거요. 공무원들이 알고도 지금 여기 와서 그냥 1년 동안 근무하다가 가버리니까."]
부안군이 확인한 불법 매립 면적은 590제곱미터.
10여 년 전부터 공유수면을 조금씩 메워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변상금 부과에 앞서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 해경에 고발도 했습니다.
허가 없이 공유수면을 매립하다가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형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안군은 또 공유수면 불법 매립 현장에 폐기물이 있었던 만큼 투기 여부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해당 주민은 무허가 공유수면 매립을 인정했지만, 폐기물을 넣지는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공유수면 불법 매립 주민 : "폐기물은 전혀 넣지 않았어요. 우리가 다 수거해서 따로 거기다 빼요."]
부안군은 위도에 굴삭기를 들여와 불법으로 메운 공유수면에 폐기물이 묻혀있는지 들여다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법 공유수면 매립 적발…폐기물 투기 의혹도
-
- 입력 2023-06-15 07:36:32
- 수정2023-06-15 09:01:49

[앵커]
섬에서 공사업체를 운영하는 주민이 10년 넘게 공유수면을 몰래 메워 작업장으로 쓴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폐기물을 규정대로 처리하지 않고 공유수면에 묻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안 관광 명소인 위도해수욕장 끝자락에 흙더미와 건설 자재가 보입니다.
가까이 가니 굴삭기가 쌓인 흙을 퍼 올려 화물차에 싣습니다.
불법으로 공유수면을 매립했다가 들키자 원래대로 돌려놓는 겁니다.
섬에 살면서 수도 공사를 해온 한 주민이 벌인 일인데, 인근 주민은 오래전부터 이어진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차근차근해서 지금까지 자기 건설업 작업장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거요. 공무원들이 알고도 지금 여기 와서 그냥 1년 동안 근무하다가 가버리니까."]
부안군이 확인한 불법 매립 면적은 590제곱미터.
10여 년 전부터 공유수면을 조금씩 메워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변상금 부과에 앞서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 해경에 고발도 했습니다.
허가 없이 공유수면을 매립하다가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형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안군은 또 공유수면 불법 매립 현장에 폐기물이 있었던 만큼 투기 여부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해당 주민은 무허가 공유수면 매립을 인정했지만, 폐기물을 넣지는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공유수면 불법 매립 주민 : "폐기물은 전혀 넣지 않았어요. 우리가 다 수거해서 따로 거기다 빼요."]
부안군은 위도에 굴삭기를 들여와 불법으로 메운 공유수면에 폐기물이 묻혀있는지 들여다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섬에서 공사업체를 운영하는 주민이 10년 넘게 공유수면을 몰래 메워 작업장으로 쓴 사실이 적발됐습니다.
폐기물을 규정대로 처리하지 않고 공유수면에 묻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윤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부안 관광 명소인 위도해수욕장 끝자락에 흙더미와 건설 자재가 보입니다.
가까이 가니 굴삭기가 쌓인 흙을 퍼 올려 화물차에 싣습니다.
불법으로 공유수면을 매립했다가 들키자 원래대로 돌려놓는 겁니다.
섬에 살면서 수도 공사를 해온 한 주민이 벌인 일인데, 인근 주민은 오래전부터 이어진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차근차근해서 지금까지 자기 건설업 작업장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거요. 공무원들이 알고도 지금 여기 와서 그냥 1년 동안 근무하다가 가버리니까."]
부안군이 확인한 불법 매립 면적은 590제곱미터.
10여 년 전부터 공유수면을 조금씩 메워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변상금 부과에 앞서 원상복구 명령을 내리고, 해경에 고발도 했습니다.
허가 없이 공유수면을 매립하다가 적발되면 3년 이하 징역형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안군은 또 공유수면 불법 매립 현장에 폐기물이 있었던 만큼 투기 여부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해당 주민은 무허가 공유수면 매립을 인정했지만, 폐기물을 넣지는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공유수면 불법 매립 주민 : "폐기물은 전혀 넣지 않았어요. 우리가 다 수거해서 따로 거기다 빼요."]
부안군은 위도에 굴삭기를 들여와 불법으로 메운 공유수면에 폐기물이 묻혀있는지 들여다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서윤덕입니다.
촬영기자:정종배
-
-
서윤덕 기자 duck@kbs.co.kr
서윤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