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외고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 지정

입력 2023.06.23 (23:38) 수정 2023.06.23 (23: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3일) 특목고인 강원외국어고등학교가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로 지정됐습니다.

이제 내년부터는 일반고로 신입생을 뽑게 되는 만큼 어떻게 운영될지, 효과는 어떨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원외국어고등학교가 내년부터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로 운영됩니다.

2010년 특목고로 설립된 이후 15년 만에 일반고가 되는 겁니다.

외국어 영역의 문과 반만으로는 대학 입시 경쟁력이 낮다는 게 전환의 가장 큰 이유입니다.

앞으로는 외국어 위주 수업에서 벗어나 인문, 자연, 의학계열 과목 등 다양한 과목 개설이 가능해집니다.

읍면지역 중학교 출신 학생이 진학하면 대학 입시에서 '농어촌 특별전형' 지원도 가능합니다.

내년부터 강원권역에서 신입생 120여 명을 모집합니다.

[주원섭/강원외국어고등학교 교장 : "문·이과 통합적인, 전반적으로 전인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 내 자율학교는 모두 28곳이 됐습니다.

과학중점학교와 마이스터고 등 9개 유형으로 구분돼 각각에 맞는 특성화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교과 수업 운영에 자율성이 있어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 과목의 수업 시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교사 초빙권도 활용할 수 있어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박세민/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대변인 : "교육 공동체의 요구를 반영하여 자율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확대시켜서 학교와 지역 교육의 성장 모델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본래 취지를 벗어나 서열화된 대학 진학 위주의 입시 학습에 치우칠 우려도 여전합니다.

[신철균/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 "수학이나 영어 입시 위주의 다양화, 교육의 다양화 쪽으로 자칫 잘 못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에 대한 관리와 잘 운영되게 하는 것은 교육청에서 그 역할을 잘 담당해줘야 합니다."]

강원도교육청은 강원특별법에 담긴 '강원형 자율학교 운영 특례'를 활용해 강원도 맞춤형 교육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외고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 지정
    • 입력 2023-06-23 23:38:37
    • 수정2023-06-23 23:56:47
    뉴스9(강릉)
[앵커]

오늘(23일) 특목고인 강원외국어고등학교가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로 지정됐습니다.

이제 내년부터는 일반고로 신입생을 뽑게 되는 만큼 어떻게 운영될지, 효과는 어떨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원외국어고등학교가 내년부터 강원형 농어촌 자율학교로 운영됩니다.

2010년 특목고로 설립된 이후 15년 만에 일반고가 되는 겁니다.

외국어 영역의 문과 반만으로는 대학 입시 경쟁력이 낮다는 게 전환의 가장 큰 이유입니다.

앞으로는 외국어 위주 수업에서 벗어나 인문, 자연, 의학계열 과목 등 다양한 과목 개설이 가능해집니다.

읍면지역 중학교 출신 학생이 진학하면 대학 입시에서 '농어촌 특별전형' 지원도 가능합니다.

내년부터 강원권역에서 신입생 120여 명을 모집합니다.

[주원섭/강원외국어고등학교 교장 : "문·이과 통합적인, 전반적으로 전인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원도 내 자율학교는 모두 28곳이 됐습니다.

과학중점학교와 마이스터고 등 9개 유형으로 구분돼 각각에 맞는 특성화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교과 수업 운영에 자율성이 있어 학생들의 요구에 맞춰 과목의 수업 시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교사 초빙권도 활용할 수 있어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박세민/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대변인 : "교육 공동체의 요구를 반영하여 자율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확대시켜서 학교와 지역 교육의 성장 모델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본래 취지를 벗어나 서열화된 대학 진학 위주의 입시 학습에 치우칠 우려도 여전합니다.

[신철균/강원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 "수학이나 영어 입시 위주의 다양화, 교육의 다양화 쪽으로 자칫 잘 못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들에 대한 관리와 잘 운영되게 하는 것은 교육청에서 그 역할을 잘 담당해줘야 합니다."]

강원도교육청은 강원특별법에 담긴 '강원형 자율학교 운영 특례'를 활용해 강원도 맞춤형 교육을 더욱 활성화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촬영기자:임강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