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 배출 엉망…줄줄 새는 쓰레기 소각 비용

입력 2023.07.04 (19:34) 수정 2023.07.04 (1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생활 폐기물이 크게 늘고 있지만 분리 배출은 여전히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청주시는 넘쳐나는 쓰레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매일 수천만 원의 세금을 위탁 처리 비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주 광역쓰레기소각장입니다.

청소차가 수거해온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뜯어보자 플라스틱과 종이, 의류 등 재활용 쓰레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청주시가 종량제 봉투를 일일이 뜯어 내용물을 분석해 봤더니 최소 30% 이상은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정의효/청주시 시설관리공단 : "가정에서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건데 신경을 안 쓰다 보니까 종이류, 플라스틱류, 기타 이불류 등이 많이 포함돼 있어서..."]

낙제점 수준인 분리배출 탓에 생활폐기물량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실제, 청주 지역 생활폐기물은 2018년 10만 9천 톤에서 4년 만에 17% 넘게 증가했습니다.

청주시민 한 명당 생활폐기물 발생량도 전국 2위입니다.

청주시가 생활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겠다며 다양한 홍보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주 광역 소각장도 포화 상태를 넘긴 지 오래입니다.

반입 쓰레기를 처리하지 못하면서 민간에 위탁해 처리하는 비용도 2018년 26억 원에서 지난해 73억으로 2.8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하루 처리 비용만 2천만 원꼴입니다.

[황승서/청주시 자원정책팀장 : "쓰레기를 파봉해본 결과 30% 정도는 재활용을 할 수 있거든요. 그 정도만 줄여도 (청주시가) 소각 위탁하고 있는 양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염불에 그치는 홍보와 계도 활동만 반복되면서 오늘도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수천만 원의 세금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최윤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분리 배출 엉망…줄줄 새는 쓰레기 소각 비용
    • 입력 2023-07-04 19:34:45
    • 수정2023-07-04 19:58:58
    뉴스7(청주)
[앵커]

생활 폐기물이 크게 늘고 있지만 분리 배출은 여전히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청주시는 넘쳐나는 쓰레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해 매일 수천만 원의 세금을 위탁 처리 비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이규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청주 광역쓰레기소각장입니다.

청소차가 수거해온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뜯어보자 플라스틱과 종이, 의류 등 재활용 쓰레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청주시가 종량제 봉투를 일일이 뜯어 내용물을 분석해 봤더니 최소 30% 이상은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정의효/청주시 시설관리공단 : "가정에서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건데 신경을 안 쓰다 보니까 종이류, 플라스틱류, 기타 이불류 등이 많이 포함돼 있어서..."]

낙제점 수준인 분리배출 탓에 생활폐기물량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실제, 청주 지역 생활폐기물은 2018년 10만 9천 톤에서 4년 만에 17% 넘게 증가했습니다.

청주시민 한 명당 생활폐기물 발생량도 전국 2위입니다.

청주시가 생활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겠다며 다양한 홍보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주 광역 소각장도 포화 상태를 넘긴 지 오래입니다.

반입 쓰레기를 처리하지 못하면서 민간에 위탁해 처리하는 비용도 2018년 26억 원에서 지난해 73억으로 2.8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하루 처리 비용만 2천만 원꼴입니다.

[황승서/청주시 자원정책팀장 : "쓰레기를 파봉해본 결과 30% 정도는 재활용을 할 수 있거든요. 그 정도만 줄여도 (청주시가) 소각 위탁하고 있는 양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염불에 그치는 홍보와 계도 활동만 반복되면서 오늘도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수천만 원의 세금이 줄줄 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규명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최윤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