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0만 원 썼네요”·“저는 3만9천 원”…배달앱 1년 주문금액 봤더니 [잇슈 키워드]

입력 2023.07.13 (07:34) 수정 2023.07.13 (10: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키워드는 '배달 주문금액'입니다.

최근 SNS에서 '배달 주문금액'을 인증하는 게 유행처럼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 배달앱 고객센터 실시간 채팅에 "최근 1년간 주문한 금액이 궁금해요"라고 질문하면, 알려준다는데요.

인증 글을 쭉 보니까요.

액수도, 반응도 참 제각각입니다.

한 누리꾼은 380만 원 정도를 썼는데, 생각보다 얼마 안 나왔다는 반응을 보였고, 또 다른 누리꾼은 배달앱을 잘 이용하지 않았는데도 60만 원이나 썼다며 놀라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혼자서 8백만 원을 넘게 쓴 사람도 있었습니다.

반면 10만 원도 안 쓴 인증 후기도 적지 않았습니다. 일상회복 이후 배달앱 시장이 고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겠죠. 실제로 배달앱 이용자 수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셉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비싼 배달료', 부담스런 게 사실이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지난달 조사한 걸 보면, 배달앱 3사의 최고 배달요금은 7,8천 원 선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30만 원 썼네요”·“저는 3만9천 원”…배달앱 1년 주문금액 봤더니 [잇슈 키워드]
    • 입력 2023-07-13 07:34:51
    • 수정2023-07-13 10:36:24
    뉴스광장
두 번째 키워드는 '배달 주문금액'입니다.

최근 SNS에서 '배달 주문금액'을 인증하는 게 유행처럼 퍼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 배달앱 고객센터 실시간 채팅에 "최근 1년간 주문한 금액이 궁금해요"라고 질문하면, 알려준다는데요.

인증 글을 쭉 보니까요.

액수도, 반응도 참 제각각입니다.

한 누리꾼은 380만 원 정도를 썼는데, 생각보다 얼마 안 나왔다는 반응을 보였고, 또 다른 누리꾼은 배달앱을 잘 이용하지 않았는데도 60만 원이나 썼다며 놀라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혼자서 8백만 원을 넘게 쓴 사람도 있었습니다.

반면 10만 원도 안 쓴 인증 후기도 적지 않았습니다. 일상회복 이후 배달앱 시장이 고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겠죠. 실제로 배달앱 이용자 수는 꾸준히 감소하는 추셉니다.

소비자 입장에선 '비싼 배달료', 부담스런 게 사실이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지난달 조사한 걸 보면, 배달앱 3사의 최고 배달요금은 7,8천 원 선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