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무장된 비무장지대…70년째 끝나지 않은 ‘역설’

입력 2023.07.27 (18:05) 수정 2023.07.27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70년 전 정전협정에서는 군사분계선 뿐 아니라 남북 간 완충지역를 위한 비무장지대, DMZ도 만들어졌습니다.

70년이 지난 지금, 역설적이게도 이 곳은 첨단 장비까지 동원된 '중무장'지대가 됐습니다.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는 미지의 공간을 김용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잔잔한 하천이 물길을 따라 흐르고, 아스라이 건물들도 눈에 들어옵니다.

옆으로 길게 뻗은 철책.

70년째 한반도 허리를 가로지르고 있는 길이 250km의 남방한계선입니다.

이 철책 너머, 비무장지대, DMZ가 있습니다.

군사분계선 남쪽과 북쪽에 각각 2km씩 설정됐습니다.

제 뒤가 강원도 철원일대 비무장지대 우리측 구역이고요, 그 너머가 북측 구역입니다.

많은 곳을 보여드리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습니다.

유엔군사령부의 승인 없이는 정전협정 70주년이 된 지금까지도 우리측 GP조차 찍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수색 작전을 명 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

비무장지대로 들어가려면 중무장을 해야 합니다.

방탄복, 위장 마스크에 수백 발의 실탄과 수류탄을 받습니다.

지뢰 탐지 장비도 필수입니다.

비무장지대 안에서는 언제라도 북측 병력을 마주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육군 3사단 관할에서만 정전 후 39번 충돌해 북한군 139명이 숨졌습니다.

[양지애/중사/육군 3사단 수색대대 : "DMZ라는 곳이 들어가고 싶어도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고 나라를 지키는 입장으로서 충분히 값진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관총과 박격포 등 DMZ 내 북한군의 중화기 무장이 확인되면서 아군도 무장을 했고, 비무장지대는 중무장지대가 됐습니다.

경계 강화를 위해 GOP 철책에는 첨단 감시장비와 적 침투 감지 센서까지 설치됐습니다.

과거에는 장병들이 24시간 GOP철책에 붙어있었지만 이제는 이렇게 특이사항이 있을 때만 신속하게 차량을 통해 출동합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전쟁, 장병들은 철책이 사라지는 그날까지 본연의 임무 완수를 다짐합니다.

[최우진/중위/육군 3사단 GOP소대장 : "70년 전 선배 전우분들이 피와 땀으로 지킨 이 땅을 철통 경계작전을 통해 제가 지키겠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촬영기자:최진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무장된 비무장지대…70년째 끝나지 않은 ‘역설’
    • 입력 2023-07-27 18:05:44
    • 수정2023-07-27 22:07:08
    뉴스 6
[앵커]

70년 전 정전협정에서는 군사분계선 뿐 아니라 남북 간 완충지역를 위한 비무장지대, DMZ도 만들어졌습니다.

70년이 지난 지금, 역설적이게도 이 곳은 첨단 장비까지 동원된 '중무장'지대가 됐습니다.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는 미지의 공간을 김용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잔잔한 하천이 물길을 따라 흐르고, 아스라이 건물들도 눈에 들어옵니다.

옆으로 길게 뻗은 철책.

70년째 한반도 허리를 가로지르고 있는 길이 250km의 남방한계선입니다.

이 철책 너머, 비무장지대, DMZ가 있습니다.

군사분계선 남쪽과 북쪽에 각각 2km씩 설정됐습니다.

제 뒤가 강원도 철원일대 비무장지대 우리측 구역이고요, 그 너머가 북측 구역입니다.

많은 곳을 보여드리고 싶지만 그럴 수가 없습니다.

유엔군사령부의 승인 없이는 정전협정 70주년이 된 지금까지도 우리측 GP조차 찍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수색 작전을 명 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

비무장지대로 들어가려면 중무장을 해야 합니다.

방탄복, 위장 마스크에 수백 발의 실탄과 수류탄을 받습니다.

지뢰 탐지 장비도 필수입니다.

비무장지대 안에서는 언제라도 북측 병력을 마주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육군 3사단 관할에서만 정전 후 39번 충돌해 북한군 139명이 숨졌습니다.

[양지애/중사/육군 3사단 수색대대 : "DMZ라는 곳이 들어가고 싶어도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고 나라를 지키는 입장으로서 충분히 값진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관총과 박격포 등 DMZ 내 북한군의 중화기 무장이 확인되면서 아군도 무장을 했고, 비무장지대는 중무장지대가 됐습니다.

경계 강화를 위해 GOP 철책에는 첨단 감시장비와 적 침투 감지 센서까지 설치됐습니다.

과거에는 장병들이 24시간 GOP철책에 붙어있었지만 이제는 이렇게 특이사항이 있을 때만 신속하게 차량을 통해 출동합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전쟁, 장병들은 철책이 사라지는 그날까지 본연의 임무 완수를 다짐합니다.

[최우진/중위/육군 3사단 GOP소대장 : "70년 전 선배 전우분들이 피와 땀으로 지킨 이 땅을 철통 경계작전을 통해 제가 지키겠습니다!"]

KBS 뉴스 김용준입니다.

촬영기자:최진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