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도시’ 부산]④ 주거지 곳곳 환경 취약…건강지표 개선하려면?

입력 2023.07.28 (07:46) 수정 2023.07.28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는 이번주 부산의 주요 질병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이유를 추적했는데요,

환경부 조사에서도 주거지 곳곳이 오염원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환경·보건 정책이 중요해졌습니다.

연속 보도 끝으로, 시민들의 건강 지표를 개선할 방안을 짚어봤습니다.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염전을 일궈 소금을 만들던 부산의 한 어촌 마을입니다.

이젠 해안가를 메워 조성한 공단과,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이 드나드는 항만에 에워 쌓였습니다.

마을과 인접한 도로로 대형 화물차도 끊임없이 오갑니다.

부산시 환경보건센터가 이 마을의 대기오염을 측정하고, 주민 건강을 조사하는 이유입니다.

[김태상/부산 강서구 송정마을 통장 : "바람이 마을 쪽으로 불기 때문에 공단에 있는 오염된 대기라든지, 그런 것들이 동네 쪽으로 밀고 오기 때문에 주민들께서 공기가 너무 안 좋고, 살기 힘들다고 얘기하십니다."]

이곳처럼 환경 피해 가능성이 커 주민들의 건강이 우려되는 지역을 살펴봤습니다.

환경부는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4개 등급으로 나눠 분류했는데요,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이 있는지, 또 유해 화학물질의 배출량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부산의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큰 1~2등급 지역이 모두 4곳인데요,

사하구와 사상구, 영도구, 금정구에서 1곳씩 포함됐습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 3~4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10개 구·군에 걸쳐 모두 116곳인데요,

강서구 41곳, 사상구 28곳, 사하구 14곳, 기장군 10곳 순입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의 경우 폭넓은 실태 조사로 오염원을 파악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허종배/부산연구원 연구위원 : "그(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배출 시설들에 대한 배출 현황이라든지, 농도라든지, 확산 범위라든지, 주변 지역의 건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추적, 조사할 필요가 있고, 대응책을 핀셋처럼 지역적으로 다르게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보건법도 개정했습니다.

광역자치단체가 지역의 환경보건계획을 수립하는 등 역할과 권한을 강화했고, 역학조사 등에 따라 환경 유해 요인을 관리하게 했습니다.

[이근희/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 : "이 법이 당장 어떻게 해결해 준다는 것보다는 5년, 10년 장기간 모니터링(조사)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이런 질병의 원인이 있다면 거기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저희들이 놓치지 않고 구제를 하고 또 조치하는 게 맞는다고 봅니다."]

하지만 서울시와 달리 부산시는 환경·보건과 건강 정책을 각각 다른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건강지표를 개선하려면 부서 간 벽을 허무는 것도 중요합니다.

[홍영습/부산시 환경보건센터장/동아대 의대 교수 : "환경사업도 사람 중심, 건강사업도 환경과 연계되는 이러한 통합적으로 같이 머리를 맞대고 노력을 해야 지금 수십 년째 우리 부산 지역의 건강지표가 낮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는 길이 열리지 않겠느냐…."]

부산시는 환경과 건강 분야 공무원, 교수 등 전문가가 모두 참여해 건강영향조사 등을 심의하는 환경보건위원회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픈 도시’ 부산]④ 주거지 곳곳 환경 취약…건강지표 개선하려면?
    • 입력 2023-07-28 07:46:56
    • 수정2023-07-28 09:08:17
    뉴스광장(부산)
[앵커]

KBS는 이번주 부산의 주요 질병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이유를 추적했는데요,

환경부 조사에서도 주거지 곳곳이 오염원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환경·보건 정책이 중요해졌습니다.

연속 보도 끝으로, 시민들의 건강 지표를 개선할 방안을 짚어봤습니다.

황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염전을 일궈 소금을 만들던 부산의 한 어촌 마을입니다.

이젠 해안가를 메워 조성한 공단과,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이 드나드는 항만에 에워 쌓였습니다.

마을과 인접한 도로로 대형 화물차도 끊임없이 오갑니다.

부산시 환경보건센터가 이 마을의 대기오염을 측정하고, 주민 건강을 조사하는 이유입니다.

[김태상/부산 강서구 송정마을 통장 : "바람이 마을 쪽으로 불기 때문에 공단에 있는 오염된 대기라든지, 그런 것들이 동네 쪽으로 밀고 오기 때문에 주민들께서 공기가 너무 안 좋고, 살기 힘들다고 얘기하십니다."]

이곳처럼 환경 피해 가능성이 커 주민들의 건강이 우려되는 지역을 살펴봤습니다.

환경부는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4개 등급으로 나눠 분류했는데요,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이 있는지, 또 유해 화학물질의 배출량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부산의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큰 1~2등급 지역이 모두 4곳인데요,

사하구와 사상구, 영도구, 금정구에서 1곳씩 포함됐습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 3~4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10개 구·군에 걸쳐 모두 116곳인데요,

강서구 41곳, 사상구 28곳, 사하구 14곳, 기장군 10곳 순입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의 경우 폭넓은 실태 조사로 오염원을 파악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허종배/부산연구원 연구위원 : "그(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배출 시설들에 대한 배출 현황이라든지, 농도라든지, 확산 범위라든지, 주변 지역의 건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추적, 조사할 필요가 있고, 대응책을 핀셋처럼 지역적으로 다르게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보건법도 개정했습니다.

광역자치단체가 지역의 환경보건계획을 수립하는 등 역할과 권한을 강화했고, 역학조사 등에 따라 환경 유해 요인을 관리하게 했습니다.

[이근희/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 : "이 법이 당장 어떻게 해결해 준다는 것보다는 5년, 10년 장기간 모니터링(조사)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이런 질병의 원인이 있다면 거기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저희들이 놓치지 않고 구제를 하고 또 조치하는 게 맞는다고 봅니다."]

하지만 서울시와 달리 부산시는 환경·보건과 건강 정책을 각각 다른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건강지표를 개선하려면 부서 간 벽을 허무는 것도 중요합니다.

[홍영습/부산시 환경보건센터장/동아대 의대 교수 : "환경사업도 사람 중심, 건강사업도 환경과 연계되는 이러한 통합적으로 같이 머리를 맞대고 노력을 해야 지금 수십 년째 우리 부산 지역의 건강지표가 낮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는 길이 열리지 않겠느냐…."]

부산시는 환경과 건강 분야 공무원, 교수 등 전문가가 모두 참여해 건강영향조사 등을 심의하는 환경보건위원회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희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