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에 직장내 괴롭힘까지’…노동청 시정명령도 무시

입력 2023.07.28 (21:43) 수정 2023.07.28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 다국적 기업의 지사장이 직장 내 괴롭힘에 성추행까지 저절렀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노동청에서 지사장을 징계하라는 시정 명령까지 내려지만 해당 업체는 그런 사실 없다며 이행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년 전 한 다국적 기업의 한국지사에 입사한 A 씨.

입사 두 달 만에 회사 워크숍에서 지사장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고 주장합니다.

[A 씨/전 직원/음성변조 : "(지사장이) 저의 오른팔을 자기 오른손으로 주물럭했죠. 왜 그러시냐 하니까 '유부녀인데 괜찮다. 뭐 어때' 라는 얘기를 했어요."]

A 씨는 이후 지사장이 사적인 일까지 지시하는 등 직장내 괴롭힘도 당했다고 말합니다.

[A 씨/전 직원/음성변조 : "(지사장의) 강아지 등록번호를 저한테 (동물)병원에 전화해서 알아내라 그러고 또, 강아지 보험도 들어 달라고..."]

결국 공황장애를 진단받고 퇴사한 A 씨는 올해 1월, 대구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했습니다.

조사 결과 노동청은, 사실관계가 모두 인정된다며, 업체에 지사장 징계조치를 하라는 시정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시정명령을 지키지 않았고 이 때문에 5백만 원의 과태료까지 받았습니다.

업체는 KBS와의 전화통화에서, "사건 자체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시정조치를 하면 사건을 인정하는 꼴이 되기 때문"에 시정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이처럼 업주가 시정명령을 무시하더라도 노동청이 추가로 조치하거나 가해자에 대한 직접 처분을 할 방법은 없다는 겁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서는 사업주가 행위자에 대해서 징계하도록 하고 있고, 국가가 직접 행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A 씨는 해당 지사장을 강제추행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이보경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추행에 직장내 괴롭힘까지’…노동청 시정명령도 무시
    • 입력 2023-07-28 21:43:27
    • 수정2023-07-28 21:55:42
    뉴스 9
[앵커]

한 다국적 기업의 지사장이 직장 내 괴롭힘에 성추행까지 저절렀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노동청에서 지사장을 징계하라는 시정 명령까지 내려지만 해당 업체는 그런 사실 없다며 이행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박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년 전 한 다국적 기업의 한국지사에 입사한 A 씨.

입사 두 달 만에 회사 워크숍에서 지사장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고 주장합니다.

[A 씨/전 직원/음성변조 : "(지사장이) 저의 오른팔을 자기 오른손으로 주물럭했죠. 왜 그러시냐 하니까 '유부녀인데 괜찮다. 뭐 어때' 라는 얘기를 했어요."]

A 씨는 이후 지사장이 사적인 일까지 지시하는 등 직장내 괴롭힘도 당했다고 말합니다.

[A 씨/전 직원/음성변조 : "(지사장의) 강아지 등록번호를 저한테 (동물)병원에 전화해서 알아내라 그러고 또, 강아지 보험도 들어 달라고..."]

결국 공황장애를 진단받고 퇴사한 A 씨는 올해 1월, 대구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했습니다.

조사 결과 노동청은, 사실관계가 모두 인정된다며, 업체에 지사장 징계조치를 하라는 시정명령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업체는 시정명령을 지키지 않았고 이 때문에 5백만 원의 과태료까지 받았습니다.

업체는 KBS와의 전화통화에서, "사건 자체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시정조치를 하면 사건을 인정하는 꼴이 되기 때문"에 시정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이처럼 업주가 시정명령을 무시하더라도 노동청이 추가로 조치하거나 가해자에 대한 직접 처분을 할 방법은 없다는 겁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음성변조 :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서는 사업주가 행위자에 대해서 징계하도록 하고 있고, 국가가 직접 행위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A 씨는 해당 지사장을 강제추행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습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그래픽:이보경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