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7 부산 클로징]

입력 2023.08.02 (19:54) 수정 2023.08.02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81세면 돌아가실 나이인데 80세 넘은 근무자가 학교에서 일하다 돌아가시면 누가 책임을 질 거냐."

"미래는 20·30세대의 무대이니 육칠십 대는 투표하지 않아도 괜찮다."

정치권에서 쏟아낸 노인 비하 발언의 역사는 사실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언제까지 외국인 노동자와 70세들을 먹여 살리는 데 헛돈을 써야 하느냐"며, 대학교수도 가세했습니다.

마치 노인이 된다는 건 사회에 불필요한 존재가 되거나 젊은 층에게 부담만 주는 세대라는 듯, 그래서 우리 모두 노인이 되는 걸 두려워하게 만듭니다.

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언급한 이른바, '여명 비례 투표' 파장이 거셉니다.

물론, 앞뒤가 잘린 말들로 일부 오해가 섞였을 수 있지만, 노인 인구 905만 명,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둔 지금, 정책과 제도, 그리고 인식까지, 우리 사회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뉴스를 마칩니다.

시청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7 부산 클로징]
    • 입력 2023-08-02 19:54:27
    • 수정2023-08-02 20:04:30
    뉴스7(부산)
"81세면 돌아가실 나이인데 80세 넘은 근무자가 학교에서 일하다 돌아가시면 누가 책임을 질 거냐."

"미래는 20·30세대의 무대이니 육칠십 대는 투표하지 않아도 괜찮다."

정치권에서 쏟아낸 노인 비하 발언의 역사는 사실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언제까지 외국인 노동자와 70세들을 먹여 살리는 데 헛돈을 써야 하느냐"며, 대학교수도 가세했습니다.

마치 노인이 된다는 건 사회에 불필요한 존재가 되거나 젊은 층에게 부담만 주는 세대라는 듯, 그래서 우리 모두 노인이 되는 걸 두려워하게 만듭니다.

민주당 혁신위원장이 언급한 이른바, '여명 비례 투표' 파장이 거셉니다.

물론, 앞뒤가 잘린 말들로 일부 오해가 섞였을 수 있지만, 노인 인구 905만 명,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둔 지금, 정책과 제도, 그리고 인식까지, 우리 사회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뉴스를 마칩니다.

시청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