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현정 앵커 :
닷새 전 강원도 삼척의 한 야산이 무너져서 지금까지 도로 통행이 전면 중단되고 있습니
다. 원인이 오늘 밝혀졌는데 주먹구구식의 도로 공사가 문제였습니다. 보도에 홍사훈 기
자입니다.
⊙ 홍사훈 기자 :
지난 3일 갈라진 삼척의 한 야산입니다. 한국자원연구소 조사팀이 오늘 정밀 조사에 착
수했습니다. 암반이 2m 너비로 갈라져 산 정상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단순한 산사태라고
보기엔 규모가 너무 큽니다.
⊙ 채병곤 / 한국자원연구소 지질공학팀 :
물이 들어가서 겨울철되면 얼게됩니다. 봄에 녹으면서 이 면을 따라 미끄러짐이 일어나
게 된 것입니다.
⊙ 홍사훈 기자 :
원인은 이 산 옆에 있는 도로 때문입니다. 이 도로를 내기위해서 산을 이렇게 거의 직
각으로 깎아냈습니다. 산 한 자락을 깎아내자 산을 떠받치고 있던 힘의 균형이 깨지면
서 단층면을 따라 무너져 내린 것입니다. 도로 윗쪽의 단층면을 따라 칼로 자른 듯 주저
앉아 있습니다. 위에서 보면 단층면이 도로와 평행하게 나 있습니다. 선진국에선 아무리
조금만 도로공사라도 단층면과 20도 이상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더욱이 이
지역은 부서지기 쉬운 편암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암석들이 맨손으로도 부서
질 만큼 연약한 상태입니다.
⊙ 임철빈 / 강원 도로관리사업소 태백지소장 :
정식으로 돈을 들여서 투입한 것도 아니고, 군 부대에서 그냥 작전도로를 닦기 위해서
했기 때문에 기술조사는 안 한 걸로...
⊙ 홍사훈 기자 :
지난해 발생했던 부산 황령산 산사태도 똑같은 원인이었습니다. 산 윗쪽엔 신설도로와
수평으로 큰 단층면이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석달 전 경남 진주의 야산이 갈라진 것도
단층면을 무시하고 과수원을 짓기 위해 산 사면을 깎다가 발생했습니다.
⊙ 김원영 / 한국자원연구소 지질연구부장 :
기술조사를 하게 되면 여기 같은 경우에도 하게되면 이 지역이 불안정한 지역일 것이라
는 것이 이미 예측이 됐을 거예요.
⊙ 홍사훈 기자 :
현재 전국 대부분 도로가 지질조사 없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정밀 지질조사
로 단층면에 대한 보강장치 등을 해 줘야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홍사
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위산이 갈라진다
-
- 입력 2000-05-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 황현정 앵커 :
닷새 전 강원도 삼척의 한 야산이 무너져서 지금까지 도로 통행이 전면 중단되고 있습니
다. 원인이 오늘 밝혀졌는데 주먹구구식의 도로 공사가 문제였습니다. 보도에 홍사훈 기
자입니다.
⊙ 홍사훈 기자 :
지난 3일 갈라진 삼척의 한 야산입니다. 한국자원연구소 조사팀이 오늘 정밀 조사에 착
수했습니다. 암반이 2m 너비로 갈라져 산 정상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단순한 산사태라고
보기엔 규모가 너무 큽니다.
⊙ 채병곤 / 한국자원연구소 지질공학팀 :
물이 들어가서 겨울철되면 얼게됩니다. 봄에 녹으면서 이 면을 따라 미끄러짐이 일어나
게 된 것입니다.
⊙ 홍사훈 기자 :
원인은 이 산 옆에 있는 도로 때문입니다. 이 도로를 내기위해서 산을 이렇게 거의 직
각으로 깎아냈습니다. 산 한 자락을 깎아내자 산을 떠받치고 있던 힘의 균형이 깨지면
서 단층면을 따라 무너져 내린 것입니다. 도로 윗쪽의 단층면을 따라 칼로 자른 듯 주저
앉아 있습니다. 위에서 보면 단층면이 도로와 평행하게 나 있습니다. 선진국에선 아무리
조금만 도로공사라도 단층면과 20도 이상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더욱이 이
지역은 부서지기 쉬운 편암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암석들이 맨손으로도 부서
질 만큼 연약한 상태입니다.
⊙ 임철빈 / 강원 도로관리사업소 태백지소장 :
정식으로 돈을 들여서 투입한 것도 아니고, 군 부대에서 그냥 작전도로를 닦기 위해서
했기 때문에 기술조사는 안 한 걸로...
⊙ 홍사훈 기자 :
지난해 발생했던 부산 황령산 산사태도 똑같은 원인이었습니다. 산 윗쪽엔 신설도로와
수평으로 큰 단층면이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석달 전 경남 진주의 야산이 갈라진 것도
단층면을 무시하고 과수원을 짓기 위해 산 사면을 깎다가 발생했습니다.
⊙ 김원영 / 한국자원연구소 지질연구부장 :
기술조사를 하게 되면 여기 같은 경우에도 하게되면 이 지역이 불안정한 지역일 것이라
는 것이 이미 예측이 됐을 거예요.
⊙ 홍사훈 기자 :
현재 전국 대부분 도로가 지질조사 없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정밀 지질조사
로 단층면에 대한 보강장치 등을 해 줘야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홍사
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