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진 앵커 :
자동차, 특히 경차의 공인연비가 실제 연비와 너무 달라서 소비자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현행 제도가 20여 년 전 미국의 제도를 그대로 들여온 것으로 우리 현실에 맞
지 않아서 빚어지는 현상입니다. 이영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이영석 기자 :
국내 경차의 공식 연비는 수동 변속기의 경우 보통 20km가 넘습니다. 왠만한 중대형차
연비의 2배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운전자들이 느끼는 체감연비는 많이 다릅니다.
연비가 22km인데 타 보시니까 어떤 거 같애요?
⊙ 임우석 / 서울 목동:
거의 15~16(km) 정도 되지 않을까요...
⊙ 윤지호 / 경기도 양평군 :
공식으로는 그런데 그것보단 좀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
어느 정도나 넘는 거 같애요.
한 15km 정도...
⊙ 이영석 기자 :
실제로 한 자동차 전문지의 주행시험 결과 국내 한 경차의 공인연비 23.8km는 14.4km,
다른 차의 17.8km는 13.1km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험상의 오차를 감안해도
큰 차이입니다. 이는 우리 나라가 지난 70년대 미국 LA시내 상황을 고려해 만든 미국식
연비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연비제도는 평균시속 34km로 현재보다
차량소통이 원활했던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와 같은 연비표시는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혼란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박동환 / 교통문제연구 시민모임 :
현행 연비제도는 정속 주행에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시내주행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
에 기준을 시급히 개정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의 혼란이 계속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이영석 기자 :
국내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연비 제도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운전자 헷갈리는 차량 연비
-
- 입력 2000-05-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 김종진 앵커 :
자동차, 특히 경차의 공인연비가 실제 연비와 너무 달라서 소비자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현행 제도가 20여 년 전 미국의 제도를 그대로 들여온 것으로 우리 현실에 맞
지 않아서 빚어지는 현상입니다. 이영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이영석 기자 :
국내 경차의 공식 연비는 수동 변속기의 경우 보통 20km가 넘습니다. 왠만한 중대형차
연비의 2배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운전자들이 느끼는 체감연비는 많이 다릅니다.
연비가 22km인데 타 보시니까 어떤 거 같애요?
⊙ 임우석 / 서울 목동:
거의 15~16(km) 정도 되지 않을까요...
⊙ 윤지호 / 경기도 양평군 :
공식으로는 그런데 그것보단 좀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
어느 정도나 넘는 거 같애요.
한 15km 정도...
⊙ 이영석 기자 :
실제로 한 자동차 전문지의 주행시험 결과 국내 한 경차의 공인연비 23.8km는 14.4km,
다른 차의 17.8km는 13.1km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험상의 오차를 감안해도
큰 차이입니다. 이는 우리 나라가 지난 70년대 미국 LA시내 상황을 고려해 만든 미국식
연비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연비제도는 평균시속 34km로 현재보다
차량소통이 원활했던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현재와 같은 연비표시는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혼란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박동환 / 교통문제연구 시민모임 :
현행 연비제도는 정속 주행에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시내주행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
에 기준을 시급히 개정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의 혼란이 계속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이영석 기자 :
국내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연비 제도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