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이어 태풍…남해안 ‘긴장’

입력 2023.08.08 (21:20) 수정 2023.08.09 (15: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해안 어민들은 한동안 바닷물 온도가 치솟아 걱정이었는데 이번엔 태풍에 대비하느라 하루종일 바빴습니다.

물에 잠길 위험이 있는 지역에선 대피할 곳도 미리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돔과 우럭 등 양식어류 16만 마리를 키우는 해상 양식장입니다.

물고기가 높은 파도에 휩쓸려 가지 않도록 양식장 위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가두리도 밧줄로 단단히 묶어놓습니다.

[이창구/양식 어민 : "파도에 고기 쓸려넘어가지 말라고 위에 덧망 전부 씌우고, 닷줄이나 약한 거 새로 보강하고 보수 공사하고..."]

낚시터를 함께 운영하는 인근 양식장 어민도 시설물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하느라 종일 분주합니다.

[임성곤/양식 어민 : "태풍에 날아갈까 싶어서 안 날아가게 못 날아가게 묶어요. 새벽 다섯시부터 나와서 하고 있어요."]

어선 운항은 이미 통제됐습니다.

조업을 나갔던 선박 수백 척이 태풍을 피하기 위해 서둘러 항포구로 들어와 정박했습니다.

과수 농가들도 비상입니다.

특히 올 봄 냉해로 이미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복숭아 농가는 막바지 수확 시기에 태풍까지 다가오자 더욱 걱정이 큽니다.

[장봉식/복숭아 재배 농가 : "태풍 앞두고 낙과 피해를 줄이려고, 복숭아를 익은 걸로 해서 열심히 따고 있습니다."]

태풍 예상경로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남 남해안의 긴장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필석/여수해양경찰서 홍보실장 :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지역 이동 권고를 실시하고 있고, 침수 우려 지역의 순찰 활동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남해안 각 자치단체는 태풍특보가 발효되면 해수욕장 등 바닷가 접근을 삼가고 산사태 위험지역이나 저지대 침수 위험 지역 주민들은 대피 장소등을 미리 확인해 줄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폭염에 이어 태풍…남해안 ‘긴장’
    • 입력 2023-08-08 21:20:24
    • 수정2023-08-09 15:47:50
    뉴스 9
[앵커]

남해안 어민들은 한동안 바닷물 온도가 치솟아 걱정이었는데 이번엔 태풍에 대비하느라 하루종일 바빴습니다.

물에 잠길 위험이 있는 지역에선 대피할 곳도 미리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최혜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돔과 우럭 등 양식어류 16만 마리를 키우는 해상 양식장입니다.

물고기가 높은 파도에 휩쓸려 가지 않도록 양식장 위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가두리도 밧줄로 단단히 묶어놓습니다.

[이창구/양식 어민 : "파도에 고기 쓸려넘어가지 말라고 위에 덧망 전부 씌우고, 닷줄이나 약한 거 새로 보강하고 보수 공사하고..."]

낚시터를 함께 운영하는 인근 양식장 어민도 시설물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하느라 종일 분주합니다.

[임성곤/양식 어민 : "태풍에 날아갈까 싶어서 안 날아가게 못 날아가게 묶어요. 새벽 다섯시부터 나와서 하고 있어요."]

어선 운항은 이미 통제됐습니다.

조업을 나갔던 선박 수백 척이 태풍을 피하기 위해 서둘러 항포구로 들어와 정박했습니다.

과수 농가들도 비상입니다.

특히 올 봄 냉해로 이미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복숭아 농가는 막바지 수확 시기에 태풍까지 다가오자 더욱 걱정이 큽니다.

[장봉식/복숭아 재배 농가 : "태풍 앞두고 낙과 피해를 줄이려고, 복숭아를 익은 걸로 해서 열심히 따고 있습니다."]

태풍 예상경로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남 남해안의 긴장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필석/여수해양경찰서 홍보실장 :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지역 이동 권고를 실시하고 있고, 침수 우려 지역의 순찰 활동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남해안 각 자치단체는 태풍특보가 발효되면 해수욕장 등 바닷가 접근을 삼가고 산사태 위험지역이나 저지대 침수 위험 지역 주민들은 대피 장소등을 미리 확인해 줄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최혜진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