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오면 대피 또 대피…애달픈 ‘기후 난민’

입력 2023.08.11 (17:11) 수정 2023.08.11 (17: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태풍 카눈 북상 때도 안전한 집에 머무르시라, 이런 말을 자주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이럴 때마다 오히려 집을 떠나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집이 재난에 취약하기 때문인데요.

날로 강해지고 잦아지는 재난 앞에 이른바 '기후 난민'의 힘겨운 일상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정민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집 건너 한 집이 빈 마을.

누군가 떠난 자리에 흉물스럽게 남은 빈집은 금이 쩍쩍 갈라져 한눈에도 위태위태합니다.

지난 9일, 태풍 북상 소식에 이대원 씨는 서둘러 어린 손자들을 이끌고 대피소가 된 마을경로당을 찾았습니다.

뜬눈으로 재난방송을 보며 구청에서 가져다준 컵라면과 도시락으로 끼니를 해결합니다.

[이대원/대피 주민 : "바람이 불면 집 자체가 노후돼서 슬레이트가 날아간다든지, 올해는 큰 피해가 없는데 작년은 슬레이트가 날려서 남의 지붕을 때리고 인명사고 날 뻔했어."]

지난해 태풍에 이어 올해도 행정복지센터에 이부자리를 편 주민들은 이젠 이런 생활이 일상이라고 말합니다.

[김 모 씨/대피 주민 : "8월 15일 이후 되면 태풍이 오니까 항상 주민들 모이면 올여름은 또 태풍 오니까 또 사는 게 빈곤하고 그렇다고 해서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니까 이동도 못 하고..."]

동래구에 있는 이 아파트도 주민들이 숙박업소나 친·인척집으로 몸을 피해야 했습니다.

아파트와 맞닿아있는 이 옹벽이 많은 비에 무너져내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태풍 카눈의 영향권에 놓인 부산에서 집을 떠나 대피한 주민들은 모두 264세대 433명.

문제는 점점 더 쏟아붓는 비와 거세지는 바람입니다.

[김선태/APEC기후센터 선임연구원 : "결국은 미래 기후변화 아래 극한 강수를 고려해서 수공 구조물들을 좀 더 정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지 못하면 '기후 난민'이란 단어가 더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게 될 거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만 오면 대피 또 대피…애달픈 ‘기후 난민’
    • 입력 2023-08-11 17:11:54
    • 수정2023-08-11 17:39:29
    뉴스 5
[앵커]

이번 태풍 카눈 북상 때도 안전한 집에 머무르시라, 이런 말을 자주 전해드렸는데요.

그런데 이럴 때마다 오히려 집을 떠나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집이 재난에 취약하기 때문인데요.

날로 강해지고 잦아지는 재난 앞에 이른바 '기후 난민'의 힘겨운 일상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정민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집 건너 한 집이 빈 마을.

누군가 떠난 자리에 흉물스럽게 남은 빈집은 금이 쩍쩍 갈라져 한눈에도 위태위태합니다.

지난 9일, 태풍 북상 소식에 이대원 씨는 서둘러 어린 손자들을 이끌고 대피소가 된 마을경로당을 찾았습니다.

뜬눈으로 재난방송을 보며 구청에서 가져다준 컵라면과 도시락으로 끼니를 해결합니다.

[이대원/대피 주민 : "바람이 불면 집 자체가 노후돼서 슬레이트가 날아간다든지, 올해는 큰 피해가 없는데 작년은 슬레이트가 날려서 남의 지붕을 때리고 인명사고 날 뻔했어."]

지난해 태풍에 이어 올해도 행정복지센터에 이부자리를 편 주민들은 이젠 이런 생활이 일상이라고 말합니다.

[김 모 씨/대피 주민 : "8월 15일 이후 되면 태풍이 오니까 항상 주민들 모이면 올여름은 또 태풍 오니까 또 사는 게 빈곤하고 그렇다고 해서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니까 이동도 못 하고..."]

동래구에 있는 이 아파트도 주민들이 숙박업소나 친·인척집으로 몸을 피해야 했습니다.

아파트와 맞닿아있는 이 옹벽이 많은 비에 무너져내릴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태풍 카눈의 영향권에 놓인 부산에서 집을 떠나 대피한 주민들은 모두 264세대 433명.

문제는 점점 더 쏟아붓는 비와 거세지는 바람입니다.

[김선태/APEC기후센터 선임연구원 : "결국은 미래 기후변화 아래 극한 강수를 고려해서 수공 구조물들을 좀 더 정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전문가들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지 못하면 '기후 난민'이란 단어가 더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게 될 거라고 경고합니다.

KBS 뉴스 정민규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