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 한 번 춰보자”…잼버리 대원 K-문화 체험 삼매경

입력 2023.08.14 (06:09) 수정 2023.08.14 (07: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공식 일정은 종료됐지만, 많은 대원들이 아직 한국에 남아 K-컬처 체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경북 안동에서는 탈춤을 직접 춰 보고 서울 광장에선 전통 공예품을 만드는 등 한국의 다양한 전통 문화를 만끽하고 있는데요, 김지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나, 둘! 얼~쑤!"]

이중으로 원을 만든 대원들이 너도 나도 어깨를 들썩거립니다.

난생 처음 해보는 동작이 어색하지만, 각자의 방식으로 흥겹게 춤을 춥니다.

잼버리 참가자들을 위해 마련된 하회별신굿 탈춤 체험 현장, 무더운 날씨에도 체코와 루마니아 대원 100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코발/체코 대원 : "춤이 꽤 흥미로웠습니다. 춤을 처음 봤을 때, 저도 무리의 한가운데서 춤을 추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사람들의 관심을 원했거든요."]

국가무형문화재인 하회별신굿 탈놀이를 관람하며 한국 전통 문화의 매력에 흠뻑 빠지기도 합니다.

[바보라/체코 대원 : "체코 문화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아서, 탈이 마음에 들고 흥미로웠어요."]

서울 광장에서 진행된 잼버리 참가자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대원들이 전통 공예품 만들기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전통 딱지치기도 해보고 제기차기도 배웁니다.

[마르코/슬로베니아 대원 : "차는 거... (제기?) 네. 제기 차기가 정말 재밌었어요."]

잼버리 대회가 끝난 이후에도 한국에 남은 참가자들은 전국 각지에서 K-컬처의 매력을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

[손삼호/경상북도 해외마케팅팀장 : "(잼버리 대원들이) 더위와 태풍에 힘들었는데 안동에 와서 세계문화유산과 한류 그리고 음식 등을 기억하시고 돌아가서 다시 경북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합니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추가 일정을 이어가는 대원들이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숙소와 교통, 문화 체험과 관광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탈춤 한 번 춰보자”…잼버리 대원 K-문화 체험 삼매경
    • 입력 2023-08-14 06:09:58
    • 수정2023-08-14 07:04:47
    뉴스광장 1부
[앵커]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공식 일정은 종료됐지만, 많은 대원들이 아직 한국에 남아 K-컬처 체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경북 안동에서는 탈춤을 직접 춰 보고 서울 광장에선 전통 공예품을 만드는 등 한국의 다양한 전통 문화를 만끽하고 있는데요, 김지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나, 둘! 얼~쑤!"]

이중으로 원을 만든 대원들이 너도 나도 어깨를 들썩거립니다.

난생 처음 해보는 동작이 어색하지만, 각자의 방식으로 흥겹게 춤을 춥니다.

잼버리 참가자들을 위해 마련된 하회별신굿 탈춤 체험 현장, 무더운 날씨에도 체코와 루마니아 대원 100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코발/체코 대원 : "춤이 꽤 흥미로웠습니다. 춤을 처음 봤을 때, 저도 무리의 한가운데서 춤을 추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사람들의 관심을 원했거든요."]

국가무형문화재인 하회별신굿 탈놀이를 관람하며 한국 전통 문화의 매력에 흠뻑 빠지기도 합니다.

[바보라/체코 대원 : "체코 문화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아서, 탈이 마음에 들고 흥미로웠어요."]

서울 광장에서 진행된 잼버리 참가자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대원들이 전통 공예품 만들기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전통 딱지치기도 해보고 제기차기도 배웁니다.

[마르코/슬로베니아 대원 : "차는 거... (제기?) 네. 제기 차기가 정말 재밌었어요."]

잼버리 대회가 끝난 이후에도 한국에 남은 참가자들은 전국 각지에서 K-컬처의 매력을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

[손삼호/경상북도 해외마케팅팀장 : "(잼버리 대원들이) 더위와 태풍에 힘들었는데 안동에 와서 세계문화유산과 한류 그리고 음식 등을 기억하시고 돌아가서 다시 경북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합니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추가 일정을 이어가는 대원들이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숙소와 교통, 문화 체험과 관광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백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