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천연기념물 산양 복원 ‘결실’…사후관리가 과제

입력 2023.08.17 (12:32) 수정 2023.08.17 (12: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엔 또 다른 멸종위기종 이야깁니다.

멸종위기종인 산양 복원 사업이 강원도 양구에서 결실을 맺고 있습니다.

올 초, 아기 산양 11마리가 태어나는 등 산양 개체수가 늘고 있는데요,

이제는 산양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까만 눈망울을 반짝이며 어린 산양이 연신 주위를 살핍니다.

풀밭에서 한참 노닐다, 이내 어미 품을 파고 들며 젖을 찾습니다.

올 봄 이곳에서 새끼 산양 11마리가 태어났습니다.

올해 태어난 산양들은 2년 뒤 성체가 되면 이 위치추적기를 달고 자연으로 방사됩니다.

산양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환경생태지표종입니다.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1998년 멸종위기종 1급이 됐습니다.

양구군과 문화재청은 2007년부터 본격적인 복원사업에 나섰습니다.

18만㎡의 넓은 산양센터를 자연과 가장 가깝게 꾸몄습니다.

여러 지역 개체가 교배하게 해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건강한 새끼를 증식해 방사했습니다.

이같은 노력으로 양구지역의 야생 산양 개체수는 2002년 50여 마리에서 지난해 150여 마리까지 늘었습니다.

[조재운/양구군 산양·사향노루센터장 : "(산양은) 산포 작용(배설물을 통한 씨앗 발아)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산양을 보존하는 게 산양 하나만을 보호하는 게 아니고, 그 지역 서식지까지도 보존하고 복원하는..."]

하지만, 방사 이후 야생에 적응을 못 하는 개체도 함께 늘고 있다는 건 새로운 걱정거립니다.

실제로 방사 이후 죽거나 다쳐 다시 구조되는 산양은 2009년 2 마리에서 올해 39 마리로 늘었습니다.

[김종택/강원대 야생동물구조센터장 : "(산양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지 울타리나 민가에서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방사된 개체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관리가..."]

이 때문에 방사한 산양의 위치 추적과 구조, 안전한 서식 환경 조성까지 방사 이후 관리가 중요하지만 산양센터의 전문 인력은 개소 당시 4명에서 멈춰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후는 말한다] 천연기념물 산양 복원 ‘결실’…사후관리가 과제
    • 입력 2023-08-17 12:32:20
    • 수정2023-08-17 12:38:50
    뉴스 12
[앵커]

이번엔 또 다른 멸종위기종 이야깁니다.

멸종위기종인 산양 복원 사업이 강원도 양구에서 결실을 맺고 있습니다.

올 초, 아기 산양 11마리가 태어나는 등 산양 개체수가 늘고 있는데요,

이제는 산양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과제로 남았습니다.

이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까만 눈망울을 반짝이며 어린 산양이 연신 주위를 살핍니다.

풀밭에서 한참 노닐다, 이내 어미 품을 파고 들며 젖을 찾습니다.

올 봄 이곳에서 새끼 산양 11마리가 태어났습니다.

올해 태어난 산양들은 2년 뒤 성체가 되면 이 위치추적기를 달고 자연으로 방사됩니다.

산양은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환경생태지표종입니다.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1998년 멸종위기종 1급이 됐습니다.

양구군과 문화재청은 2007년부터 본격적인 복원사업에 나섰습니다.

18만㎡의 넓은 산양센터를 자연과 가장 가깝게 꾸몄습니다.

여러 지역 개체가 교배하게 해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건강한 새끼를 증식해 방사했습니다.

이같은 노력으로 양구지역의 야생 산양 개체수는 2002년 50여 마리에서 지난해 150여 마리까지 늘었습니다.

[조재운/양구군 산양·사향노루센터장 : "(산양은) 산포 작용(배설물을 통한 씨앗 발아)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서 산양을 보존하는 게 산양 하나만을 보호하는 게 아니고, 그 지역 서식지까지도 보존하고 복원하는..."]

하지만, 방사 이후 야생에 적응을 못 하는 개체도 함께 늘고 있다는 건 새로운 걱정거립니다.

실제로 방사 이후 죽거나 다쳐 다시 구조되는 산양은 2009년 2 마리에서 올해 39 마리로 늘었습니다.

[김종택/강원대 야생동물구조센터장 : "(산양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지 울타리나 민가에서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방사된 개체에 대해서도 전문적인 관리가..."]

이 때문에 방사한 산양의 위치 추적과 구조, 안전한 서식 환경 조성까지 방사 이후 관리가 중요하지만 산양센터의 전문 인력은 개소 당시 4명에서 멈춰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유진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