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집단행동 자제 촉구”…고위 당정 대응책 긴급 논의

입력 2023.09.03 (21:04) 수정 2023.09.04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교육부는 교사들의 뜻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집단 행동은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의 오늘(3일) 긴급 회의에서도 교권 회복 대책과 집회 대응 방안이 함께 논의됐습니다.

민주당은, 교사들에게 으름장을 놓지 말라고,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주호 장관은 교권 회복에 대한 마음은, 교육부도 교사들과 다르지 않다며 집단행동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이주호/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우리 학생들에게는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의 곁에서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학교 교육은 사회 필수 기능이라며, 교사의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장상윤/교육부차관 : "추모의 뜻에 반대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헌법과 법률에서 정한 사회적 룰을 준수하고 이를 집행해야 할 법적 책임이 있는 정부이기 때문에…"]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 의장도 '공교육 멈춤의 날'이 아니라 '교권 회복 시작의 날'로 만들자며 집회 자제를 요청했는데, 당에선 특정세력의 책임론도 제기했습니다.

[강민국/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정치 투쟁을 교실로 옮겨 온 그런 단체, 선생님을 스스로 노동자로 격하시킨 단체, 거기에 충분한 책임이 있지 않나."]

반면 민주당은 교육부가 무너진 교권에 눈감은 채 집회 참여 교사에게만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소영/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정부가 알아서 할 테니 교사들은 입 다물고 침묵하라는 말입니까? 교사들의 입을 틀어막는 정부를 어떻게 믿으라는 말입니까?"]

정부와 여당, 대통령실은 오늘 오후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고, 집회 대응 상황을 점검한 뒤 교권회복 종합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와 법무부도 교사의 정당한 교육 활동이 아동학대로 신고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공동 전담팀을 꾸렸습니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교권 회복 법안은 오는 21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 처리될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 박장빈/영상편집:송화인/그래픽:김지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육부 “집단행동 자제 촉구”…고위 당정 대응책 긴급 논의
    • 입력 2023-09-03 21:04:16
    • 수정2023-09-04 07:53:36
    뉴스 9
[앵커]

교육부는 교사들의 뜻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집단 행동은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의 오늘(3일) 긴급 회의에서도 교권 회복 대책과 집회 대응 방안이 함께 논의됐습니다.

민주당은, 교사들에게 으름장을 놓지 말라고,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추재훈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이주호 장관은 교권 회복에 대한 마음은, 교육부도 교사들과 다르지 않다며 집단행동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이주호/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우리 학생들에게는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의 곁에서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학교 교육은 사회 필수 기능이라며, 교사의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장상윤/교육부차관 : "추모의 뜻에 반대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헌법과 법률에서 정한 사회적 룰을 준수하고 이를 집행해야 할 법적 책임이 있는 정부이기 때문에…"]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 의장도 '공교육 멈춤의 날'이 아니라 '교권 회복 시작의 날'로 만들자며 집회 자제를 요청했는데, 당에선 특정세력의 책임론도 제기했습니다.

[강민국/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정치 투쟁을 교실로 옮겨 온 그런 단체, 선생님을 스스로 노동자로 격하시킨 단체, 거기에 충분한 책임이 있지 않나."]

반면 민주당은 교육부가 무너진 교권에 눈감은 채 집회 참여 교사에게만 으름장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소영/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 "정부가 알아서 할 테니 교사들은 입 다물고 침묵하라는 말입니까? 교사들의 입을 틀어막는 정부를 어떻게 믿으라는 말입니까?"]

정부와 여당, 대통령실은 오늘 오후 긴급 당정협의회를 열고, 집회 대응 상황을 점검한 뒤 교권회복 종합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와 법무부도 교사의 정당한 교육 활동이 아동학대로 신고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공동 전담팀을 꾸렸습니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교권 회복 법안은 오는 21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 처리될 거란 예상이 나옵니다.

KBS 뉴스 추재훈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 박장빈/영상편집:송화인/그래픽:김지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