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러 군사협력, 안보리 결의 위반”…천안함 찾아 대북 경고

입력 2023.09.15 (21:30) 수정 2023.09.15 (2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러시아는 유엔 제재를 준수하겠다고 거듭 밝히고 있지만 한,미 두나라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반드시 대가가 따를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두 나라 외교,국방 대표단은 새로 취역한 '천안함'에 올라 확장 억제 공약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월 취역한 우리 해군의 신형 호위함 '천안함'을 한미 확장억제전략협의체 대표단이 찾았습니다.

두 동강 난 옛 천안함 선체를 둘러보고 희생 장병 참배도 했습니다.

북한의 실질적인 위협을 공유하고 한국 해군의 첨단 전력을 체험한 것입니다.

[신범철/국방부 차관 : "새로운 한미동맹 그리고 미국의 핵 억제력과 우리의 첨단 전력을 통해서 강화된 확장억제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서 두 나라 외교·국방 차관들은 회의를 열고 북한과 러시아에 강력히 경고했습니다.

북러 군사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엄중한 위반이라며 분명한 대가를 따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한 러시아 등 제3국의 책임을 지적하고 미측의 확장억제 공약도 재확인했습니다.

[장호진/외교부 1차관 : "러시아가 비확산체제 창설의 당사자이자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일원으로서 책임 있게 행동해야 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보니 젠킨스/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차관 : "미국 또는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을 용납할 수 없으며, 이는 북한 정권의 종말을 초래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는 철도와 항공, 금융기관 등 150여 기업과 개인에 대한 독자 제재도 단행했습니다.

전쟁 물자로 쓰이는 물품 또는 기술 공급에 관여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제재 대상엔 핀란드 물류회사와 튀르키예 조선업체, 북한 탄약의 러시아 수송을 맡았던 민간 용병 기업 바그너 그룹 관계자도 포함됐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화면제공:국방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북러 군사협력, 안보리 결의 위반”…천안함 찾아 대북 경고
    • 입력 2023-09-15 21:30:56
    • 수정2023-09-15 22:39:09
    뉴스 9
[앵커]

이처럼 러시아는 유엔 제재를 준수하겠다고 거듭 밝히고 있지만 한,미 두나라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반드시 대가가 따를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두 나라 외교,국방 대표단은 새로 취역한 '천안함'에 올라 확장 억제 공약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수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5월 취역한 우리 해군의 신형 호위함 '천안함'을 한미 확장억제전략협의체 대표단이 찾았습니다.

두 동강 난 옛 천안함 선체를 둘러보고 희생 장병 참배도 했습니다.

북한의 실질적인 위협을 공유하고 한국 해군의 첨단 전력을 체험한 것입니다.

[신범철/국방부 차관 : "새로운 한미동맹 그리고 미국의 핵 억제력과 우리의 첨단 전력을 통해서 강화된 확장억제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앞서 두 나라 외교·국방 차관들은 회의를 열고 북한과 러시아에 강력히 경고했습니다.

북러 군사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엄중한 위반이라며 분명한 대가를 따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한 러시아 등 제3국의 책임을 지적하고 미측의 확장억제 공약도 재확인했습니다.

[장호진/외교부 1차관 : "러시아가 비확산체제 창설의 당사자이자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일원으로서 책임 있게 행동해야 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보니 젠킨스/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차관 : "미국 또는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을 용납할 수 없으며, 이는 북한 정권의 종말을 초래할 것임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하는 철도와 항공, 금융기관 등 150여 기업과 개인에 대한 독자 제재도 단행했습니다.

전쟁 물자로 쓰이는 물품 또는 기술 공급에 관여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제재 대상엔 핀란드 물류회사와 튀르키예 조선업체, 북한 탄약의 러시아 수송을 맡았던 민간 용병 기업 바그너 그룹 관계자도 포함됐습니다.

KBS 뉴스 이수민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지영/그래픽:김석훈/화면제공:국방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