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깎되, 깎지 않는다…‘불각’ 조각가 김종영

입력 2023.10.05 (08:02) 수정 2023.10.05 (09: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이달의 거장은 창원 소답리에서 태어난 한국 추상 조각의 선구자 '우성' 김종영 선생입니다.

깎되, 깎지 않는다는 '불각의 아름다움'을 완성한 김종영의 작품 세계와 삶을 진정은 기자가 조명합니다.

[리포트]

서울 북한산 자락 비탈면에 깃든 김종영 미술관.

개울 디딤돌과 정원 '모대'는 작가의 고향 집에서 옮겨온 것들입니다.

작가가 남긴 작품 5천여 점.

그 가운데 첫 번째로 꼽히는 '자각상'입니다.

[박춘호/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 : "60년대에 숭례문 복원하면서 그때 거기서 나온 나무를 가지고, 이목구비가 나무의 결에 의해서 표현이 된 아주 특이한 형태입니다."]

2백여 점 조각 대부분 제작 연도와 번호만 있을 뿐, 특별한 제목은 없습니다.

["특별한 단어를 사용하면 관객들에게 사전에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작가는 6·25 전쟁 중이던 1953년 국내 최초로 국제 공모전에 입상하고, 30년 넘게 제자들을 길러내고, 조각은 물론 서예와 드로잉 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습니다.

[최종태/92/김종영미술관 명예관장 : "(김종영 선생님은) 최초로 추상 조각을 만드신 분이에요. 그 후 우리 세대까지 내려와서 지금 한국조각계가 이렇게 번성하게 됐어요."]

대부분 작업을 인적 드문 달동네 마당이나 학교에서 홀로 했고, 생전 전시회는 단 두 차례에 그쳤습니다.

["작품을 발표하는 걸 안 했어요. 그게 자기 내면에 더 충실하기 위해서 그렇게 하신 것 같아요."]

'깎되 깎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형상을 깎기보다 내면의 소박함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불각의 아름다움'.

그 토대는 고향에서 시작됐습니다.

동요의 배경이 된 창원 소답리 사대부가.

작가는 1915년 이 집의 장손으로 태어났습니다.

[김정하/김종영 조각가 제종 조카 : "제 큰아버지(김종영)의 생가이면서 소싯적에 생활했던 터전으로 공동 우물이 있으면서 이 마을의 구심점이 되었던 집입니다."]

선비인 아버지로부터 배운 한학과 서예는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서양 추상 세계를 해석하는 뿌리가 됐습니다.

작가의 아름다운 창원 생가는 1994년 본채와 별채 사이 도로가 나는 수모를 겪었고, 지금은 별채 '사미루' 누각도 점점 낡아가고 있지만, 작가는 그의 작품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이 고향 창원의 산과 하늘, 그리고 달이었다 말했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깎되, 깎지 않는다…‘불각’ 조각가 김종영
    • 입력 2023-10-05 08:02:00
    • 수정2023-10-05 09:05:01
    뉴스광장(창원)
[앵커]

경남의 거장을 만나다,

이달의 거장은 창원 소답리에서 태어난 한국 추상 조각의 선구자 '우성' 김종영 선생입니다.

깎되, 깎지 않는다는 '불각의 아름다움'을 완성한 김종영의 작품 세계와 삶을 진정은 기자가 조명합니다.

[리포트]

서울 북한산 자락 비탈면에 깃든 김종영 미술관.

개울 디딤돌과 정원 '모대'는 작가의 고향 집에서 옮겨온 것들입니다.

작가가 남긴 작품 5천여 점.

그 가운데 첫 번째로 꼽히는 '자각상'입니다.

[박춘호/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 : "60년대에 숭례문 복원하면서 그때 거기서 나온 나무를 가지고, 이목구비가 나무의 결에 의해서 표현이 된 아주 특이한 형태입니다."]

2백여 점 조각 대부분 제작 연도와 번호만 있을 뿐, 특별한 제목은 없습니다.

["특별한 단어를 사용하면 관객들에게 사전에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에…."]

작가는 6·25 전쟁 중이던 1953년 국내 최초로 국제 공모전에 입상하고, 30년 넘게 제자들을 길러내고, 조각은 물론 서예와 드로잉 등 수많은 걸작을 남겼습니다.

[최종태/92/김종영미술관 명예관장 : "(김종영 선생님은) 최초로 추상 조각을 만드신 분이에요. 그 후 우리 세대까지 내려와서 지금 한국조각계가 이렇게 번성하게 됐어요."]

대부분 작업을 인적 드문 달동네 마당이나 학교에서 홀로 했고, 생전 전시회는 단 두 차례에 그쳤습니다.

["작품을 발표하는 걸 안 했어요. 그게 자기 내면에 더 충실하기 위해서 그렇게 하신 것 같아요."]

'깎되 깎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형상을 깎기보다 내면의 소박함과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불각의 아름다움'.

그 토대는 고향에서 시작됐습니다.

동요의 배경이 된 창원 소답리 사대부가.

작가는 1915년 이 집의 장손으로 태어났습니다.

[김정하/김종영 조각가 제종 조카 : "제 큰아버지(김종영)의 생가이면서 소싯적에 생활했던 터전으로 공동 우물이 있으면서 이 마을의 구심점이 되었던 집입니다."]

선비인 아버지로부터 배운 한학과 서예는 동양 철학을 바탕으로 서양 추상 세계를 해석하는 뿌리가 됐습니다.

작가의 아름다운 창원 생가는 1994년 본채와 별채 사이 도로가 나는 수모를 겪었고, 지금은 별채 '사미루' 누각도 점점 낡아가고 있지만, 작가는 그의 작품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이 고향 창원의 산과 하늘, 그리고 달이었다 말했습니다.

KBS 뉴스 진정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