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더하기] “학부모는 아무 말도 하지마?”…‘공개수업·상담주간’ 줄줄이 취소

입력 2023.10.11 (20:00) 수정 2023.10.11 (2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입니다.

'뉴스더하기' 김현수입니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 가정통신문입니다.

이번 학년도 학부모 공개수업 취소를 알리는 내용이었는데요.

"올해 교원능력개발 평가를 실시하지 않겠다는 교육부 발표가 있었고, 일련의 안타까운 사건들로 본교 교사들의 교육 활동이 위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같은 결정을 내린 다른 학교도 마찬가지 이유였는데요.

교권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지난달 국회에서는 이른바 '교권 보호 4법'이 통과되기도 했죠.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교권 보호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해가 안 되고 서운하다, 일부 학부모 때문에 대다수 예의 있는 학부모가 피해를 보는 것 같다" "선생님들 힘든 건 알지만 그래도 늘 하던 건 해야 하지 않나?" 이렇게 아쉬운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학기 중 특정 기간 진행하는 '학부모 상담주간'도 취소하는 학교가 많아졌습니다.

또 교사들 사이에서는 학부모 상담을 위해 개설한 오픈톡 채팅방도 없애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요.

학부모들은 교권 강화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방향성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강영미/참교육학부모회 대전지회장 : "교사들 행정 업무가 너무 많아요. 그런 거를 경감하고 또 교실에 아이들 수도 적게 배치해서 그 노동의 강도를 줄여주는 방향으로 가야지, '학부모들은 아무 말도 하지 마' 이거는 오히려 학교에 대한 불신을 더 조장한다고 봐요."]

반면, "학부모지만 공개수업 안 했으면 한다, 안 가면 아이한테 관심 없는 학부모 같아 보여서 부담된다" "의도는 좋았지만 변질 됐다" 이렇게 기존 공개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고요.

"2학기 학부모 상담을 신청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신청했었는데 정말 필요할 때 상담하려고 합니다" 이런 글이 대전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교사들의 입장은 어떨지, 제가 직접 이야기 들어 봤는데요.

일단 '상담주간'이 학부모 악성 민원의 발단이 된다고 토로했습니다.

또 이 기간, 상담이 집중되기 때문에 다른 업무를 보기가 힘들고, 상담의 질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건데요.

의무적인 '상담주간' 운영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입니다.

[박소영/대전교사노조 정책실장 : "상담은 수시 상담으로 가는 게 맞고요. 사전 신청을 하고, 선생님이랑 시간을 조율해서 깊이 있는 상담을 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저희는 생각을 하는 건데, 지금은 일방적으로 대중없이 전화를 막 하시죠. 이게 상담인지 민원인지 구별이 안 돼요. 그런 일들이 되게 많고…."]

어느 때보다 '교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 정부와 교육계, 우리 사회가 함께 더욱 머리를 맞대야 할 텐데요. 하지만 지금 정부 대응을 보면 당장 들끓는 여론만 잠재우기에 급급하다는 생각도 지우기가 힘듭니다.

"중간 없이 너무 극과 극으로 대치하는 게 아닌가" 일각에서는 이런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일선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극과 극으로 치닫는 사이, 학교와 교육당국, 중재자들은 어디에 있는 걸까요?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 더하기] “학부모는 아무 말도 하지마?”…‘공개수업·상담주간’ 줄줄이 취소
    • 입력 2023-10-11 20:00:39
    • 수정2023-10-11 20:32:34
    뉴스7(대전)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입니다.

'뉴스더하기' 김현수입니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 가정통신문입니다.

이번 학년도 학부모 공개수업 취소를 알리는 내용이었는데요.

"올해 교원능력개발 평가를 실시하지 않겠다는 교육부 발표가 있었고, 일련의 안타까운 사건들로 본교 교사들의 교육 활동이 위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같은 결정을 내린 다른 학교도 마찬가지 이유였는데요.

교권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지난달 국회에서는 이른바 '교권 보호 4법'이 통과되기도 했죠.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교권 보호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해가 안 되고 서운하다, 일부 학부모 때문에 대다수 예의 있는 학부모가 피해를 보는 것 같다" "선생님들 힘든 건 알지만 그래도 늘 하던 건 해야 하지 않나?" 이렇게 아쉬운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학기 중 특정 기간 진행하는 '학부모 상담주간'도 취소하는 학교가 많아졌습니다.

또 교사들 사이에서는 학부모 상담을 위해 개설한 오픈톡 채팅방도 없애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요.

학부모들은 교권 강화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방향성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강영미/참교육학부모회 대전지회장 : "교사들 행정 업무가 너무 많아요. 그런 거를 경감하고 또 교실에 아이들 수도 적게 배치해서 그 노동의 강도를 줄여주는 방향으로 가야지, '학부모들은 아무 말도 하지 마' 이거는 오히려 학교에 대한 불신을 더 조장한다고 봐요."]

반면, "학부모지만 공개수업 안 했으면 한다, 안 가면 아이한테 관심 없는 학부모 같아 보여서 부담된다" "의도는 좋았지만 변질 됐다" 이렇게 기존 공개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고요.

"2학기 학부모 상담을 신청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의무적으로 신청했었는데 정말 필요할 때 상담하려고 합니다" 이런 글이 대전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교사들의 입장은 어떨지, 제가 직접 이야기 들어 봤는데요.

일단 '상담주간'이 학부모 악성 민원의 발단이 된다고 토로했습니다.

또 이 기간, 상담이 집중되기 때문에 다른 업무를 보기가 힘들고, 상담의 질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건데요.

의무적인 '상담주간' 운영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입니다.

[박소영/대전교사노조 정책실장 : "상담은 수시 상담으로 가는 게 맞고요. 사전 신청을 하고, 선생님이랑 시간을 조율해서 깊이 있는 상담을 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저희는 생각을 하는 건데, 지금은 일방적으로 대중없이 전화를 막 하시죠. 이게 상담인지 민원인지 구별이 안 돼요. 그런 일들이 되게 많고…."]

어느 때보다 '교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 정부와 교육계, 우리 사회가 함께 더욱 머리를 맞대야 할 텐데요. 하지만 지금 정부 대응을 보면 당장 들끓는 여론만 잠재우기에 급급하다는 생각도 지우기가 힘듭니다.

"중간 없이 너무 극과 극으로 대치하는 게 아닌가" 일각에서는 이런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요.

일선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극과 극으로 치닫는 사이, 학교와 교육당국, 중재자들은 어디에 있는 걸까요?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