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인터뷰] ‘럼피스킨병’ 지역 확산…방역 대책은?

입력 2023.10.23 (19:06) 수정 2023.11.04 (23: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어서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소 럼피스킨병' 현재 상황과 방역대책 짚어봅니다.

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장이신, 전북대 수의학과 조호성 교수 전화로 연결돼있습니다.

생소한 병명입니다.

럼피스킨병, 어떤 전염병인가요?

[앵커]

폐사율이 높지 않은데 '1종 가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유는?

[앵커]

서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경기, 충북 등등 발병 농가가 빠르게 느는 모양새인데, 전문가로서 이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요?

[앵커]

계절적으로 흡혈 곤충의 활동이 줄어드는 시기인데, 확산이 얼마나 더 이어지고 언제쯤이 고비가 될 것으로 보시는지요?

[앵커]

끝으로,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당국과 축산농가들이 지켜야 할 사항 짚어주신다면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인터뷰] ‘럼피스킨병’ 지역 확산…방역 대책은?
    • 입력 2023-10-23 19:06:58
    • 수정2023-11-04 23:16:32
    뉴스7(대전)
[앵커]

이어서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소 럼피스킨병' 현재 상황과 방역대책 짚어봅니다.

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장이신, 전북대 수의학과 조호성 교수 전화로 연결돼있습니다.

생소한 병명입니다.

럼피스킨병, 어떤 전염병인가요?

[앵커]

폐사율이 높지 않은데 '1종 가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유는?

[앵커]

서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경기, 충북 등등 발병 농가가 빠르게 느는 모양새인데, 전문가로서 이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요?

[앵커]

계절적으로 흡혈 곤충의 활동이 줄어드는 시기인데, 확산이 얼마나 더 이어지고 언제쯤이 고비가 될 것으로 보시는지요?

[앵커]

끝으로,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당국과 축산농가들이 지켜야 할 사항 짚어주신다면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